시간의 향기 - 머무름의 기술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로사회에 이어 한병철 교수님의 시간의 향기를 읽었다.

시간에 향기가 있었나? 시간에 향기가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가 말하고 있는 것은 근/현대의 '질주'하는 삶에서 시간도 질주하게 되고,  멀티태스킹처럼 여러 가지 목적의 일들을 끊임없이 이 일과 저 일로 효율성이라는 이름 하에 보내는 시간들이 그 여러 가지 목적처럼 분절되어 원자화되어버린 것을 보고, 그 예전의 느리게 그리고 컨텍스트 스위칭 (컴퓨터가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이 일 저 일을 오가며 처리하는 것) 없이 흘러가는 것을 그리워하며 명명한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이렇게 되어버린 것이 신에서 인간 중심으로 세상이 바뀐 것에 기인한다. 읽으면서 인본주의를 지양하는 것인지 의문이 생겼다.

무엇보다도 책을 읽기가 쉽지 않다. 글을 이해할 때는 그 글에 필요한 배경지식이 충분하고 또한 글들 속의 용어에 익숙해야 할 것인데, 익숙하지 않은 철학자들의 철학과 인용문으로 배경지식도 어두워지지만, 낯선 마치 이 책에서 처음 창조된 것 같은 용어들이 머릿속을 뿌옇게 만든다.

어렵다. 기본적으로 이야기가 없이 저자의 사유를 단락 없이 쫓아가야 하기 때문에 길을 몇 번이나 잃었는지 잃고 있는지 모른다.

의문이 생긴다. 이 책을 읽고 나는 또 절대다수는 아닐 우리가 시간의 향기를 느끼며 현대의 디지털시계가 아닌 신의 태엽 시계에 독야청청 서 있을 수 있을까? 서 있을 수는 있겠지만, 그럼으로써 내가 또 나와 관계된 사람들에게 어떤 득을 선사할 수 있을까?

물론, 이원적이고 극단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적절한 타협으로 일할 때는 원자화된 시간과 함께, 쉴 때는 사색하며 느림의 미학을 느끼며 시간의 향기를 맡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려스러운 것은 '타협'이라는 것이 색을 배합하듯이 모든 것에서 이루어지지는 않고, 또 배합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들마저도 일반화해서 섞은 척하기 십상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책은 나에게 '고뇌'를 남길 것인가? 그 '고뇌'가 '부조리'를 동반해서 나를 더 사색하게 만들 것인가? 철학 책이니 사색을 유발하는 것은 좋은 일일 것이다. 하지만, 그 사색이 어떤 행동의 변화를 가져다줄지는 굉장히 미지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