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공부의 기초 - 복잡한 세상을 이해하는 간단한 틀
앨런 존슨 지음, 이솔 옮김 / 유유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광범위한 '사회학'의 정의가 어려운 것에 대해, 사회학의 그 광범위함을 그대로 인정한 채, 개인과 사회가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설명하며 '사회학'을 개괄적으로 정의해 준다. 책을 다 읽고도 한 문장으로 사회학을 명쾌하게 정의하기는 어렵다. '인간과 사회의 관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학문' 정도가 내가 쥐어짤 수 있는 정의이다.

그래서 '관계 분석'이 무엇이고, 그 문제 해결의 접근법이 무엇인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관계 분석은 '최소 저항의 길'로 대부분 설명하고 있다. 사회 구성원인 인간이 그 사회 속에서 가치관의 대립이 있을 때, 대립을 최소화 (최소 저항) 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한다는 의미이다. '타협'이다. 인종 차별이 만연한 사회에서 인종 차별 발언을 들었을 때, 그것이 잘 못된 것이고 반박하고 더 나아가 그 화자를 개화 시켜야 하겠지만, 그 선택은 그 사회의 가치관과 대립하는 것이고, 개인이 맞서기에는 너무 거대하다. 그렇다고 자신의 가치관을 저버리고 적극적으로 동의하거나 동참한다면, 개인의 가치관이란 의미 없는 사유로 그칠 뿐이다. 그래서 그 개인은 최소 저항의 길로 소극적으로 들어주고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지 않는 최소 저항의 길을 선택하게 된다. 이것은 타협이고 비겁해 보이고, 진보적으로 사회를 개혁할 수 없어 보인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길을 선택하고 그것이 사회 현상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개인의 잘 못으로 보이는 문제 - 여기서는 인종 차별을 발언하는 사람의 문제 - 를 꼭 그 개인에게만 원인을 두지는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개인이 그렇게 행동하게 된 '최소 저항의 길'을 낳은 사회도 함께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개인을 엄벌하는 것은 최소 저항의 길을 선택한 다수의 대리 만족을 위한 마녀사냥일지도 모른다.

두 번째로 그렇다면 이런 관계를 분석해서 어떻게 사회 문제를 풀어갈 것인지에 대한 접근법을 살펴보자. 책의 마지막 즈음에 나타나는 '빈곤 문제'를 살펴보고 싶다. 저자는 사회 계층마다 분배  되는 비율을 그대로 둔 빈곤 문제 해결책은 직접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고 한다. 동의한다. 상류 20퍼센트가 48퍼센트의 부를 가져가고 그다음 20퍼센트가 23퍼센트를, 그다음이 15퍼센트를, 그다음은 10퍼센트를, 마지막 최 하위 20퍼센트가 4퍼센트를 분배 받는 사회에서, 빈곤층에게 더 좋은 일자리를 가질 수 있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을 펴도, 최하위층의 일부가 그 상위 계층으로 이동은 할 수 있지만, 결구 그 상위 계층의 누군가는 최 하위 계층으로 떨어져야 한다. 그래서 부의 분배 비율을 바꿀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백인의 특권, 낮은 투표율에 대해서도 다룬다.

이 책을 보는 대부분의 독자는 이런 사회 현상에 대한 영향력 있는 의사 결정권자는 아닐 것이다. 그래서, 개인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는 뚜렷하게 나타나있지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최소 저항의 길'에 따라 행동하니, 사회 현상의 이면에는 사회 가치관에 따른 '최소 저항의 길'이 깔려있다를 인지하고, 그 렌즈로 내가 속한 최소의 조직부터 다시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책 마지막에 있는 유유 출판사 도서도 좋았다. 몇 권의 책은 읽었고, 또 읽고 싶은 책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