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 풍경 - 글자에 아로새긴 스물일곱 가지 세상
유지원 지음 / 을유문화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받아보고 펼쳐진 첫 페이지가 다른 책들보다 이 책을 먼저 읽게했다.


타이포그래피는 비전공자이지만 관심이 많았다. 그리고 그 역사를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며 여행하며 소개하는 책에 매료되었다.

법에 관한 책이 있는지 묻는 갑갑한 사정을 가진 할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자신의 갈길을 결정했다는 프롤로그의 글은 시작부터 가슴 뭉클하게 했다.

나는 세리프 (Serif - 획의 끝에 붙어 있는 작은 돌기)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게 되었고, 또 그것이 없는 (without - sans) 산세리프 (Sanserfi)가 어떻게 이름지어졌는지 알게 되었다.


활자의 사각형 밖을 나와 있는 "f"를 보고 그 정교함과 고민에 탄복했다.

일본의 도로 위 글자는 달리는 자동차 안 운전자를 고려해 길다. 그리고 그것을 정확히 그리기 위해 공사 직후 도로에는 자로 잰 것을 표시하는 선들이 남아 있다고 한다.

최정호 명조 원도를 디지털화한 SM 명조는 잉크의 번짐을 고려해 의도보다 가늘게 만들어진 것을 간과해서 가로획이 너무 가늘다고 한다.

독일의 위조 방지 폰트 FE 폰트는 모든 획이 고유해서 F 아래에 테이프를 붙여 E를 만들어도 위조 된 것임을 판별할 수 있게 한다고 한다.


이외에도 수 많은 밑줄을 긋게한 이 책은 저자의 방대한 지식과 깊은 사유, 에피소드 그리고 감상을 수필/기행문으로 쉽게 풀어써, 폰트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도 흥미롭고 즐겁게 그 세계에 발을 내딛게 해주는 것 같다.


운전을 하다 도로 표지판에 종성이 있어도 초성, 중성, 종성의 음소들이 줄어들지 않아 종성이 없는 음절 (글자) 보다 길게 보이는 한길체를 보고 빙긋 웃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