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아이들은 TV에서 <빨강머리 앤>도 <알프스 소녀 하이디>도 <플랜더스의 개>도 보지 못한다. 불후의 명작 <캔디 캔디>는 말할 것도 없고. 지금도 TV에는 어떤 아름답고 슬픈 만화 주인공들이 아이들의 마음과 영혼을 사로잡겠지만, 그들이 누구인지 나는 모른다. 내가 모르는 그 누구들도 나의 주인공들처럼 오래오래 아이들의 가슴 속에 꿈으로 살아있겠지만, 나는 앤과 하이디와 캔디캔디와 넬로를 모르는 아이들이 어쩔 수 없이 안타깝다.

 

위더의 『플랜더스의 개』를 직접 읽은 것은 처음이지 싶다. 효령이와 함께 이야기를 하기 위해, 비룡소 출판사의 완역본을 읽었다. 별 생각없이 읽기 시작해서 한밤중에 나는 펑펑 울었다. 작년 한해 내내 읽은 어떤 책도 그렇게 내 감성을 무방비로 뒤흔들지 못했다. 꺼이꺼이 삼키려던 눈물은 딸국질로 변하고 콧물이 숨구멍을 막아버릴 것 같았다. 다 아는 이야기에 왜 그렇게 울음을 쏟았는지는 나도 모르겠다. 언제나 ,왜? 라고 묻기를 좋아하지만, 나는 왜?라고 한마디도 묻고 싶지 않았다. 황현상 선생은 트윗에서 환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세월호 참사로 슬퍼하는 한국인에 대한 글을 쓰라는 숙제에서 초등학생이 오빠와 나는 울었다로 썼다." 울어 보지 않고는 알 수 없는 것이 환유다. 나도 이제 이 말의 의미를 알 것 같다.

 

 

영화 <더 리더> 의 마지막에 케이트 윈슬렛은 감옥에서 자살한다. 자살하기 전 그녀는 혼자서 글자를 배운다.... 기 보다는 터득한다. 책 속의 글자와 책을 녹음한 말을 하나하나 비교하며, 단어를 깨우친다. 케이트 윈슬렛이 읽는 책은 안톤 체호프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이다. 나는 그때부터 이 책이 궁금했다. 그런데도 이제야 읽었다. 나는 그녀의 자살과 이 책의  내용이 관계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작가가 아무책이나 고르지는 않았을테니까. 그런데 모르겠다.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은 아주 짧은 단편이다. 내용은 무척 단순하다. 개를 데리고 다니는 젊은 여자가 얄타의 휴양지에서 자신보다 두 배는 나이가 많은 남자를 만나 부적절한 관계를 맺는다. 여자가 집으로 돌아간 뒤 이 바람둥이 남자는 다른 많은 여자들에게 그랬던 것처럼 금방 잊어버릴 것이라 생각했다.  그런데 진정한 사랑임을 깨닫고, 여자를 찾아가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다. 둘은 속박에서 벗어나 진정한 행복을 찾을 방법을 고민한다. 이야기는 이렇게 끝난다. 나는 혼자 이렇게 소리쳤다.  "아니! 진짜 이렇게 끝나는 거야?" 진짜 그렇게 끝났다. 영화 속 케이트 위슬렛이 깨달은 '문자'와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자가 얻은 '사랑'이 같은 것일까? 그 보다 이 책이 왜 고전인거야?

 

 

얼마전 JTBC 뉴스룸에 김혜자가 나와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인터뷰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많이도 키득거렸다. 그렇게 재미있으면서 따뜻한 인터뷰는 처음이었다. 압권은 당연히 김혜자의 '손석희는 깍쟁이', 발언이다. 그 인터뷰는 영화 홍보의 하나였지만, 길이길이 남을 인터뷰가 될 것이다. 김혜자가 출연한 영화는 좋은 평을 듣고 있지만, 상영관이 별로 없어 고전하고 있다. 그 영화는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 이다.

 

마크 해던의 『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이란 이름을 처음 들었을 때, 나는 이 책이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인 줄 알았다. 둘 다 이름치고는 긴데다가, 개와 의문의 사건과 훔친다는 단어들이 뒤섞이니, 하나로 들릴 법도 하지 않은가. 여하튼 개에게 무슨 일인가가 발생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와 책은 아무 상관이 없다.

 

『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은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처럼 정작 개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열다섯 살의 크리스토퍼는,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아마도 수학천재 자폐아인 듯하다. 이 책은 이 아이가 쓰는 소설이라는 형식을 띠고 있는데, 일종의 성장소설이라 할 수 있다.  성장소설과 자폐아, 대강은 그림이 그려질 것이다. 감동의 요소도 있고, 반성의 계기도 있다.

 

그럼에도 크리스토퍼가 만약 현실에 출현한다면 상황은 그렇게 녹록할 것 같지 않다. 크리스토퍼는 나름의 사고체계와 행동지침을 가지고 있다. 이 아이의 눈으로 바라보면 크리스토퍼의 행동은 충분한 개연성을 갖는다. 이해할만 하다. 그러나 스위스제 칼을 가지고 다니며, 낯선 사람과는 말도 하지 않으려 하고, 조금이라도 자신을 건드리는 사람은, 말 그대로 어깨나 팔등이 살짝 건들리기만 해도, 거칠게 밀어 쓰러뜨리고, 백화점 한복판에서 뒹굴며 악을 쓰는 크리스토퍼를 현실에서 맞닥뜨린다면,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 경우에 따라 대단한 위협을 느낄 수 있다. 크리스토퍼는 진짜로 스위스제 칼을 휘두를 수도 있다. 타인을 이해하려 하지만, 타인을 이해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타인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것이 한권의 책으로 해결될 수 없는 어려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