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때문에 골치가 아프다. 조금 있으면 이사를 가야한다. 집을 알아 보고 있는데, 전세 대란이라는 말이 빈말이 아닌 듯하다. 집을 보러 다니는 것도 힘든 일이지만 이사를 할 생각하니, 책 때문에 한숨만 나온다. 이 책을 어떻게 다 옮기나...
이사 생각만 하면 속이 울렁거린다. 복잡한 생각을 떨쳐버릴 수 있는 길은 오직 하나! 생각할 겨를도 주지 않는 재밌는 책을 읽으면 된다! 그런데, 이런 책을 찾는다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요즘 난 세계문학을 거의 읽을 수 없다. 초반부의 지루함 때문이다.
재밌다고 추천받은 소설책들 중 거의 전부가 몇 페이지 넘기다 말고 던져졌다. 그 책들은 다음과 같다. 사람에 따라서는 의아할 것이다. 이 책이 정말 재미없다고?! 처음을 넘기면 되는데, 그걸 못하니 읽다 말고 던지게 된다.
사라마구의 <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는 이전에 나온 문학세계사판인 <이름들>로 읽고 있는데, 이 책만은 끝을 보려고 읽고 있다. 지하철에서만. 거의 2주가 다 되간다. 초반부를 넘어 탄력이 붙는가 싶더니, 다시 지루해져 덮고 있다. 나머지 책들은 20여 페이지를 못 넘기고 던졌다.
그래서 예전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던 스파이 소설, 일명 장르 소설쪽으로 기웃거리게 된다. 도서관에서 그렇게 기웃거리다 발견한 책이 <보쉬의 비밀>이라는 책인데, 이걸 발견한 게 행운이었다. 도서관에서 몇 페이지를 읽고 보니 그냥 페이지 속에 파묻히는 거다.
미술책에서 항상 의문의 부호를 갖고 보던 히에로니무스 보쉬 그림에 관한 내용이라 더 흥미진진하게 읽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아니, 솔직히 화가에 대해 몰라도 이 소설은 충분히 재밌다. 책장이 바람처럼 넘어가던 <13번째 마을>만큼 재밌으니~.
혹시나 해서 알라딘 중고서점을 검색했는데, 몇 군데 있어 낼름 구입하여 야금야금 읽고 있다. 게걸스럽게 읽으면 금방 읽어버리기 때문에. 1권 끝내고 2권 접어들었는데, 페이지가 넘어가는게 매우 아쉽다. 정말 내가 찾고 있던 책이다. 정말 재밌다! 혹시나 나처럼 재밌는 책을 찾고 있는 분이라면 강추할 책이다.
이 책을 다 읽으면 어쩌나 하는 불안감에(계속 이사 불안증에 시달려야 한다) 연달아 읽을 다음 책을 확보하려고 찾아 보았다. 알라딘 리뷰를 뒤져보니 <제노사이드>도 끝내주게 재밌다고 해서 슬쩍 보았다. 와~ 이것도 내 몇일을 담보해 주겠구나 싶어 구매했다. 이건 정말 확실한 재미를 보장할 거 같다. ㅎㅎ
도서관에서 <제노사이드>를 다 읽으면 읽을 수 있는 재미를 보장해 줄 책을 빌려왔다. 아래 책들.
<순교자>는 이상하게도 끌렸고, <표적>은 딱 3페이지만 넘겨 봤는데, 재밌을 거 같아 빌렸다. <전몰자의 날>은 헤르메스님 페이퍼를 보고 빈스 플린 시리즈 중 책 상태가 양호한 걸 빌렸다. 빈스 플린 책들은 하두 대출되어 표지가 너덜너덜하고 대체로 다 더럽다. 이건 재미를 보장한다는 반증이 아닐까..ㅎㅎ
지난 달 읽었던 책들 중에서 의외로 문학작품 만큼 재밌었던 인문서들도 있었다. <성은 환상이다>와 <교양인의 독서생활> 그리고 <미국문화의 몰락>(재독했음)이 그런 책들이다. 모두 하루나 이틀만에 다 읽은 환상적인 책들이다. 이런 책들만 읽으면 정말 좋겠다.
특히 기시다 슈의 <성은 환상이다>는 정신분석학 이론서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재밌다. 이 사람의 독특한 주장은 읽어 봐야 그 맛을 알 수 있다. <미국문화의 몰락>은 예전에 사 놓고 대충 훑어 읽었던 책인데, 다시 보니 역시 의미심장하다. 흠..그렇지, 그렇고 말고, 라는 말과 함께 금방 다 읽는다. 미국 문화 비판서가 이리도 재밌다니. 촘스키와는 색다른 재미를 보장한다.
<교양인의 독서생활>은 오래 전에 출간된 건데, 최근에야 번역된 듯하다. 책에 대한 책을 다룬 책들은 이미 많이 나와있지만 그래도 매우 재밌게 읽었다. 다치바나 다카시 책에 비하면 이 책은 좀더 묵직하고 직설적이다. 일급 사회학자의 독서편력기인데, 교양서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의미 심장한 구절들과 교양서를 왜 읽어야 하는지 그 당위성에 고개가 끄덕여지는 매력적인 책이다. 이 책도 하루만에 쫑을 보았다.
그나저나 4월까지 정신적 고통에서 버텨야 한다. 혼자서 재밌는 책을 찾는 건 정말 어려운 거 같다. 추천받는 게 제일 장땡인거 같다. 재밌을지 여부는 내가 판단하면 되니까..ㅎㅎ 재미는 상대적인지만, 확실히 재밌다는 책 중에서 고르면, 내게도 재밌는 책이 확실히 있는 거 같다. 어쨌거나 기차게 재밌는 책이 있으면 야무에게 추천해 주셨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