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기사 데스페로의 작가 디카밀로가 지난주 신문 칼럼에 동화가 조금 슬퍼도 괜찮다고 썼다.
http://time.com/5099463/kate-dicamillo-kids-books-sad/
이 글은 맷 데 라 페냐의 지난 칼럼, 아이들에게 어두움을 얼마나 이야기해도 되는지 묻는 글에 공감을 표하는 답장이다.
http://time.com/5093669/why-we-shouldnt-shield-children-from-darkness/
데 라 페냐의 그림책 Love 는 거실에서 부부싸움 하는 부모를 피해 피아노 아래에 강아지와 함께 숨은 어린이를 그려서 어른 편집자들을 불편하게 만들었다. 데 라 페냐는 ‘상처와 고통으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려 신경써서 애쓰는 대신 아이들이 아픈 경험을 잘 통과하도록 돕는 게 동화 그람책 작가의 일이라고, 이야기하고 안아’줘야한다고 했다. 초등학교 강연에서 그의 그림책 낭독을 듣고 3학년 소년이 자발적으로 죽음과 애도의 경험을 속에서 꺼내 이야기하며 눈물을 흘렸다. 감정을 표현하고 스스로 정리해내는 아이들의 순간을 위해, 그 성장을 위해 작가들은 아픈 이야기를 쓴다.
공감한다. 그 단계에 어른이 고나리질 하지 않으며 함께 해주면 되는 거다. 디 카밀로는 세상에 대한, 어린이 독자들을 향한 믿음과 사랑으로 세상에 벌어지는 슬픈 일들을 동화에 쓸 수 있다고, 그래야한다고 말한다. 자신의 어린시절, 계속 아팠고 아버지는 가족을 버렸지만 자신은 성장했고 그 경험을 강연에서 아이들과 나누며 용감하게 견디며 성장하는 것의 의미를 깨달았다고도 했다. 그 예로 우리는 E W 화이트의 명작 ‘샬롯의 거미줄’을 계속 읽는다. 샬롯이 다시 살아나지 않는다해도 이야기가 주는 세상과 생명에 대한 믿음, 사랑을 읽는다고. 그 이야기를 들은 어린이들은 자신의 아픈 이야기를 나누며 용기를 얻고 그 말을 작가 손을 꼭 붙잡으며 한다니. 또 그 어린이들의 말 한마디에 감동받고 흔들리는 어른 작가들! 얼마나 아름다운가!!!
그래요, 동화 작가님들! 열심히 써주세요. 아프고 슬프고 힘든 이야기들을, 아이들이 용기를 갖도록요. 아픈 기억을 속에만 담고 썩게 하지 않고 아야기에 공감하고 울 수 있게요. 이야기 속에 꼭 들어가셔서 아이들 손 잡아주시고요, 애들만 내버려두진 말아주세요. 너무 나쁜 어른은 그래도.... 넣지 말아주세요. 죄송해요, 엄마라 그런가, 아이들이 안다치면 좋겠어요. 아파도 조금만 아프고요. 주문이 많지요...? 계속 열심히 읽을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