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말레이시아로 이민 간다던 친구가 갑자기 생각났다. 오랜만에 통화한 친구는 어제 통화한 듯 아무렇지 않게 이민은 못 갔다고 대답했다. 준비한 이민서류는 모두 통과되었는데 초유의 바이러스 사태로 그만 발이 묶였다고, 그동안 일이 많았다며 이야기보따리가 터졌다. 무엇보다, 결혼하고 지금 참 행복하다고 말했다. 왜 연락 안 했냐니까 식을 따로 올리지 않고 가족만 모여 간단히 식사하고 새 삶을 시작한 게 8개월 되었단다.
친구는 두 번의 결혼과 두 번의 이혼을 했다. 결혼에 종지부를 찍은 후 하고 싶은 건 다 했고 남자도 많이 만났다는 친구는 전문직 프리랜서로 잘산다. 나를 포함해 다른 동기들보다 당차고 야무진 사람이다. 15년 전에만 해도 나이는 먹어가고 자식은 없다면서 홀로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아주 약간의 두려움 같은 걸 내비치면서도 결혼이라는 제도에 다시는 걸려들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사귀는 연하남은 있는데 결혼 제안을 받을 때마다 핑계를 대며 물리고 있다고도 했다. 그러던 친구가 이제는 오래 두고 본 그 남자와 죽을 때까지 함께하고 싶다며 공기 좋은 신도시에서 새소리 들으며 사는 게 참 평화롭다고 말했다.
우리의 대학 시절, 순정파 야수와 깍쟁이 미녀는 주변에서 다 아는 과커플이었다. 두 사람 모두 첫 인연이었다. 졸업할 무렵 본격적으로 결혼 이야기가 오고 가고 하던 어느 날, 순진한 내 친구가 진지한 얼굴로 꺼낸 단어에 나는 속으로 ‘깜짝이야!’ 했다.
그 남자를 집에 초대했단다. 식구들 모두 인사를 나누는 자리에서 친구 어머니가 “한 서방!”이라고 부르며 사윗감으로 대우했고 나머지 식구들에게 이제부터 모두 한 서방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당부하더란다. 그러면서 친구는 나한테 “우리 엄마가 ‘한 서방!’ 그러니까 되게 듣기 좋은 거 있지. 헤헤. 그러니까...우리 한 서방이 어쩌구저쩌구...” 눈망울이 몽글몽글해지며 자랑이 늘어졌다.
“야, 너는 한 서방이라고 부르면 안 되지이.”
“아니야, 네가 몰라서 그렇지. 울엄마가 다들 그렇게 불러야 된다던데...”
남편의 남동생을 부르는 말은 두 가지다. 미혼이면 도련님, 결혼하면 서방님으로 불러야 하는 걸로 안다. 하지만 나는 ‘도련님’은 불렀는데 ‘서방님’은 언감생심 부르질 못한다. 남편의 두 남동생은 모두 결혼 후부터는 아이들이 부르는 이름 ‘삼촌’으로 불린다. 예법에 맞지 않는 호칭이지만 ‘서방님’은 어째 입에 올리기가 간질간질하다. 사극과 막장드라마 속 ‘서방질한다’는 대사 때문인지 아무튼 선입견이 부른 무슨 부작용인 것만은 확실하다.
친정 부모님에게는 박 서방이 둘이다. 큰사위, 작은사위 모두 박 씨이다 보니 함께 있을 때는 큰박 서방, 작은박 서방, 이렇게 부른다.
명절이면 그동안 일에 바빠 처가 나들이를 자주 할 수 없었던 우리의 ‘박 서방들’이 심히 힘들 때다. 여자들만 명절증후군이 있는 게 아니라 우리의 박 서방들(김 서방, 이 서방, 정 서방 모두)도 못지않게 마음 쓰이는 구석이 많다. 꽉 막히는 도로를 뚫고 안전운행해서 가야지, 섭섭지 않게 지갑도 풀어야지, 동서들끼리 모여앉으면 밀고 당기며 위신도 세워야지. 더군다나 문화가 다른 처가 분위기에 맞춰 적당히 놀아줘야지.
지금은 조금 달라졌지만 여기서 큰박 서방 자랑을 살짝 할까. 장인 장모에게 앞서서 마음 써주고 챙겨드리니 살갑지 못한 맏딸로서 고맙다. 부모님이 나이 들어가면서 제일 원하는 건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것인데 무엇보다 큰박 서방은 그걸 잘한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못한 사연,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남에게 이야기하기에는 공감을 얻지도 못할 것 같고 회한밖에 안 드는 슬픈 개인사를 어디에다 내뱉고 싶었을 것이다. “밖에 나가면 누가 뭐 내 얘길 구구절절 듣고 있으려고 하나? 난 이렇게 말만 할 수 있어도 한이 풀어지는 것 같다구.”
큰박 서방은 오래 듣고 앉아 있었다. 다음에 또 들을 요량으로 북쪽 고향 이야기를 남겨두고 우리는 집으로 돌아왔다. 씨암탉도 한 번 못 잡아준 처가지만 그저 ‘박 서방 고맙네.’ 그런 속말을 다 알 거라 믿으며.
‘서방’은 순우리말이다. 옛날에 ‘서방맞히다’는 ‘시집보내다’의 뜻이고 지금도 함경도에서는 ‘장가가다’의 뜻으로 ‘서방가다’를 쓴다. ‘서방’에 기어이 한자를 다는 호사가들은 서재를 뜻하는 서방書房과 사위를 서쪽에서 재웠다고 서방西房을 쓰는 예를 우리말에 잘못 가져다 단 것으로 보인다.
사전을 좀 더 찾아보면 ‘서방’의 ‘서’는 사벌(상주), 서라벌(경주), 소부리(부여), 솔부리(송악), 쇠벌, 새벌(철원)의 ‘사, 서, 소, 솔, 쇠, 새’처럼 ㅅ계통의 말로 ‘새롭다, 크다’라는 뜻도 있다. ‘방’은 건설방(오입판 건달), 만무방(염치 없는 사람), 심방(만능무당), 짐방(싸전 짐꾼), 창방(농악의 양반 광대)에 쓰는 ‘방’으로 房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뜻의 우리말이다. 그러니 우리말의 서방은 書房이나 西房이 아니고 ‘새 사람, 큰 사람’이라는 뜻으로 굳이 한자어를 달 필요가 없는 말이다.
일상도 감정도 슴슴해지는 나이에 오히려 신혼의 달달함을 구가하는 친구에게 남편을 어떻게 부르는지 물어보지는 않았다. 철없던 시절의 친구가 남편 될 남자에게 모두 한 서방이라고 불러야 된다고 우기던 얼굴이 귀엽게 떠오른다. 누구는 남편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는 “어이, 서방.”, 아양을 떨어야 할 때는 “우리 서방니임.”이라고 한다는데, 우습게도 나는 평생 불러보지 못한 호칭이다. ‘나의 새 사람, 나의 큰 사람’이라고 불러준다고 그게 어디 낯간지러울 일이냐.
- 계간 동리목월 (2021겨울. 45호)
서정오
서정오의 옛이야기 보따리를 좋아한다. 성인시각장애인 대상으로 우리 옛이야기 스토리텔링 수업을 할 때도 서정오 이야기를 주자료로 했다. 들려드리기에 좋은 입말로 씌어 있어 더욱 좋다. 누구는 잘나 보이고 싶은 욕심에 허위 사실도 아무렇지 않게 서류에 쓰고도 무엇이 잘못인지 모르는 것 같은데 그런 욕심과 허영이 무엇에 다 소용이랴. 조금 모자란 듯 바보처럼 살면 어떠랴 싶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오랜만에 셋이서 밥을 먹고 야경이 좋은 산 속 찻집에서 차를 마셨다. 내 책을 본 아는 언니가 아이템을 잘 잡았다고 해서 속으로 놀랐다. 길게 말하기 싫어 그냥 좋아하니까요,라고 말했다. 아이템을 잘 잡고 안 잡고라는 생각 자체가 없었다. 아이템이라니 ㅎㅎ 이런 내가 '멍'한 건지 몰라도 '똑'한 사람들은 워낙 많으니. 언니는 오래도록 소설습작을 하고 있다. 내년쯤에는 단편이야기집을 내라고 응원했다. 변함없는 분!
검암도서관에서 독서반을 오래도록 하는 글벗이 아침에 전화와 한 시간을 통화했다. 15명이 잘 유지하고 있고 목포로 이사간 한 분이 안타까웠는데 코로나 이후 줌으로 만날 수 있어 오히려 장점도 있더라고. 방금은 서울친구랑 잠시 통화했다. 늘 간명한 영감을 주는 친구 왈 우리는 모두 각자의 트루먼쇼를 펼치며 사는데 다른 사람은 다 알고 자신만 모르는 형국은 아닐까, 빗대어 말했다. 공감! 트루먼쇼의 주관은 저 위의 높은 분이겠지만 그 또한 명확히 아는 바 없고 그저 오늘도 감사하며! 한때 지적허영에 빠져 책도 많이 사고 그랬지만 이제는 많이 버렸다고 말한 친구다. 우리가 책을 읽고 영화를 보고 독서토론을 하는 게 지적허영은 아니길 바라며 한 해가 저무는 무렵, 나 자신도 돌아본다.
서방,이라니 뜬금없이 생각난 사진. 크리스마스는 지났지만 아직은 2021년이다.
모두 몸도 마음 따스한 날 보내세요^^
2017년 3월 18일 Bethlehem. 배혜경 아이폰 촬영
2017. 3. 18. 가시면류관도 상품화된 베들레헴 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