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ㅣ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왜 이 책이 베스트셀러 1위가 됐을까.
책을 다 읽고서 일단은 판단중지(에포크)를 내렸다. 책의 내용과 구성이 내 예상과는 너무나 달랐기 때문이다. 우선 마치 ‘신나이’를 읽는 듯한 느낌이었다. 목소리를 따라 받아 썼다는 신나이 류의 책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면 ‘개소리’라고 생각한다. 일종의 노이즈 마케팅으로 사기에 불과할 뿐이다. 그러나, <미움받을용기>에 그런 혐의를 지울 수는 없다. 둘째로 예상과 달리 이 책은 심리학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었다. 나는 아들러 심리학에 대해선 무지하다. 예전에 심리 상담사 자격증을 따기위해 심리학 공부를 하면서 이름만 대충 들어봤을 뿐이다. (자격증을 따긴 했는데 그걸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인간은 변할 수 있다. 세계는 단순하다. 누구나 행복해질 수 있다’ 이런 류의 언급들 때문에 아마도 신나이를 연상했던 것 같다. 미안하지만 이런 류의 주장은 전혀 설득력이 없다.
아들러의 트라우마에 대한 비판은 가장 통괘한 순간이었다. 단어는 사유를 조장하는 경향이 있다. ‘트라우마’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쓰이면서 사람들은 ‘트라우마’를 마치 방패처럼 사용한다. 우리는 “경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는 것이다“
불행을 인간 스스로 선택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동의할 수 없다. 아들러 심리학을 흔히 ‘용기의 심리학’이라고 말한다. 아들러는 인간이 변할 수 있고 누구나 행복해질 수 있음이 가능한 이유가 ‘용기’라고 말한다. 즉 우리는 지금 당장 ‘용기’만 있다면 행복해 질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인간의 모든 고민이 인간관계에서만 비롯된다는 주장도 선뜻 받아들일 수가 없다. 아들러 입장에서 개인에 국한되는 고민, 내면의 고민이라는 주장은 존재할 수 없다. 만일 내가 ‘있다는 것은 무엇일까? 왜 나는 없지 않고 있는 것일까’를 고민한다면 나는 인간이 아닌 셈이다.
아들러는 인간의 일반적인 심리에는 전혀 관심이 없어 보인다. 단지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들러는 인간의 인정욕구를 부정한다. ‘인정욕구’를 지니지 않은 인간도 있을까. 인정욕구는 성욕만큼이나 근본적이고 보편적인 감정이 아닐까. 아들러의 주장대로 우리는 타인의 기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태어난 것은 아닐 것이다. 자유란 타인에게 미움을 받는 것이다.
“남이 나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리든 마음에 두지 않고,
남이 나를 싫어해도 두려워하지 않고,
인정받지 못한다는 대가를 치르지 않는 한 자신의 뜻대로 살 수 없어.
자유롭게 살 수 없지.“
아들러가 보기에 인간관계의 목표는 공동체 감각을 향한 것이다. 각자의 나는 세계의 중심이 아니다. 우리는 ‘이 사람은 내게 무엇을 해줄까?’가 아니라 ‘내가 이 사람에게 무엇을 줄 수 있을까’를 생각해야 한다. 그것이 공동체에 공헌하는 길이다.
과도한 낙관주의는 위험하다. 아들러는 자기긍정이 아닌 자기 수용을 말한다. 자기 긍정이란 하지도 못하면서 “나는 할 수있다”, “나는 강하다”라고 스스로 주문을 거는 행위다. 이는 거짓이고 우월 콤플렉스에 빠지거나 아니면 반대로 극단적인 비관에 다다를 수도 있다. 이에 반해 자기 수용이란 ‘하지 못하는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할 수 있을 때까지 앞으로 나아가는 행위다.
목적지에 도달하려는 삶은 키네시스적 인생(kinesis)임에 반해 춤을 추는 인생은 에네르게이아energeia적 인생이다. 키네시스에는 시점과 종점이 있다. 반면 에네르게이아란 ‘지금 하고 있는’것이 그대로 ‘이루어진’ 상태가 된 운동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 ‘과정 자체를 결과로 보는 운동’이다. 춤을 추는 것이나 여행처럼.
춤을 추듯 살아라! 지금, 여기를 충실히 살아라라는 가르침은 니체를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에크하르트 톨레나 신나이, 혹은 사이비 종교를 떠올리게 한다.
‘타인에게 공헌한다’는 길잡이 별을 말할땐 타자에 대한 환대를 중요시했던 레비나스를 연상시킨다.
한마디로 아들러 심리학은 심리학이기 보다는 ‘당위의 철학’이다. 우리는 더 이상 타인에게 인정받으려는 욕망을 멈추고, 자신만을 생각할 게 아니라 타인에게 공헌하는 삶을 살아가야 한다. 용기를 내면 가능할 일이고, 분명 감동적이고 존경할만한 가르침임에는 분명하나, 거기에 이르는 길은 희붐하다. 이렇게 말하는 것 말고 다른 방법이 있을까.
“누군가가 시작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다른 사람이 협력하지 않더라도 그것은 당신과는 관계없습니다. 내 조언은 이래요. 당신부터 시작하세요. 다른 사람이 협력하든 안 하든 상관하지 말고.”
나는 용기를 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