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버거에 대한 명상

 

                                의자와 침대 광고의 공통점은 편안함을 강조 한다는 점이다. 침대는 가구가 아니라 과학이라고 말하는가 하면, 의자는 항상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자랑한다. 하지만 < 의자 > 를 제작할 때 반드시 편안함 을 염두에 두고 의자를 만들지는 않는다. 패스트푸드 식당 의자는 손님이 의자에 앉을 때 일부러적당히 불편 하도록 설계한다. " 허리가 뻐~      근해 봐야 정신을 차리지 ↗ "  손님이 패스트푸드 식당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평균 10분 내외'라는 데에서 불편한 의자가 한몫했다. 롯데리아 의자를 생각해 보면 쉽게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 등받이 없는 딱딱한 의자는 빨리 먹고 빨리 나가라는 은유. 미국 맥도날드 식당에서 오래 머문다는 이유로 한인'을 내쫒았던 사건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면 빠르다.

패스트푸드 식당에 걸린 가훈은 “ f. a. s. t ” . 그러니까 맥도날드 한인 추방 사건은 패스트 한 곳에서 슬로우 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무거운 엉덩이는 허물'이다(반면 백화점이나 쇼핑몰에서 무거운 엉덩이는 미덕이 되고 가벼운 발은 악덕이 된다. 고객이 쇼핑몰에 오래 머무를 수록 매출은 오른다).  누군가는 이 사건을 두고 장과 김치(발효 음식 : slow food)로 대표되는 한식 문화와 패스트푸드인 햄버거 문화가 충돌한 사건이라 말하지만, 한식 문화가 slow food 라는 주장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오랜 세월 끝에 깊은 맛을 내는 장 문화가 슬로 푸드 요리'라면 어머니가 과연 짜장면은 싫다고 하셨어, 라고 말하셨을까 ? 짜장면도 장 요리에 해당하니 슬로 푸드인 셈이다. 그렇지 않은가 ?

직장인으로 붐비는 점심시간에 식당에서 김치찌개를 주문하면 5분 안에 세팅되고 10분이면 밥을 해치우는 환경에서 " 슬로우 " 라는 말은 뭔가 어색하다.  한 발 물러나서, 한식이 slow food 라고 가정해도 “ slow food ”“ fast food ” 처럼 먹으니 결과는 << slow foodfast化 >> 인 셈이다. 문학 권력에 의해 문학이 소비되는 방식도 이와 다르지 않다. 소설은 대표적인 슬로 푸드이지만 그것을 소비하는 형태는 패스트푸드되었다일단, 출판사와 결탁한 문학평론가(출판사 소속 문예지 편집위원, 기획위원1)는 상품 가치가 있는 작가를 집중 관리한다. 그들은 통속소설을 고급소설로 둔갑시키기 위해 온갖 칭찬 릴레이가 이어진다. 배울 만큼 배웠으니 " 말빨 " 로 대중을 현혹하기란 누워서 떡 먹기'가 아닐까.

비유를 들자면 패스트푸드처럼 만들어지는 김치찌개를 슬로 푸드로 소개하며 건강 요리'로 선전하는 꼴이다. 신경숙 소설은 바로 이 과정을 거친다상품이 출시되면 출판사 산하 문학평론가들의 집중 관리가 시작된다. 천박하게 말해서 영혼 없는 칭찬이요, 마사지 작업'이다. 마사지 과정을 거치면 평범한 대중소설도 걸작이 된다. 이것을 문학 전문 기자들이 그대로 옮긴다. 그 결과 신경숙 소설은 숙성 과정 없이 신속하게 베스트셀러 진열대에 진입하게 된다. 대표적 슬로 푸드인 문학이 패스트되어 소비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흥행성과 대중성을 갖춘 소설로 둔갑한 작품이 김애란의 첫 장편 << 두근두근내인생 >> 이다. 이 소설은 실패한 소설로 볼 수 있다.

대중음악 가수가 4분짜리 댄스곡만 부르다가 4시간짜리 춘향가 완창에 도전한 느낌이라고 할까 ? 백 미터 단거리에서 우승한 육상 선수가 동시에 이 백미터 단거리 경기도 우승하는 경우는 흔하지만,  백 미터 단거리 선수가 사 백미터 중거리 경기에서도 우승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단거리와 중거리(장거리)는 호흡법과 주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김애란은 그동안 단거리(단편소설)에 익숙한 호흡법과 주법으로 중거리(장편소설)에 도전하다 보니 호흡이 툭끊긴다. 그러다 보니 << 두근두근내인생 >> 은 단편을 억지로 길게 늘린 것처럼 읽힌다. 김애란 특유의 쫄깃한 맛이 없는 소설이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평단은 이 소설에 대한 영혼 없는 칭찬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신경숙을 대체할 만한 유일한 젊은 작가는 김애란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문단이 김애란을 전략적으로 민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는 대목이다. 결국 완성도 면에서 실패한 소설은 마사지 작업 ”을 거쳐 훌륭한 작품이 되고, 빠르게 소비되었다빨리빨리 사회인 대한민국에서 파는 음식은 대부분 패스트푸드이다. 한식이 슬로 푸드라는 데에는 동의하지만 대중식당에 의해 유통되는 음식은 어떤 식으로든 패스트푸드일 수밖에 없다. fast food(대중소설)fast food‘로 광고하는 것은 윤리적 문제가 없지만 fast foodslow food'라고 선전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옳지 않다. 출판사 문예지에 소속된 문학평론가를 동원하여 자사 상품을 고급소설(slow food)로 선전하는 것은 과장 광고. 그 수혜를 고스란히 받고 자란 대표적 상품이 바로 신경숙 소설이다. 신경숙은 탁월한 실력을 가진 작가.

이 사실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통속소설이라는 범주 안에서만 그렇다. 대중소설이 고급소설보다 질이 떨어진다는 소리'가 아니다. 대중소설을 고급소설로 둔갑시키는 문단 시스템이 역겨울 뿐이다 ■

 

 

 

 

 

 

덧대기

 

햄버거는 대표적인 패스트푸드'다. 열량이 높아서 정크푸드'라고도 한다. 하지만 맛이 좋아 대중이 즐겨 찾는 음식이기도 하다. 신경숙 작가'에게는 미안한 소리이지만 < 신파 > 는 " 감정의 과잉 " 에서 비롯된다. 내가 신경숙 소설을 통속소설'이라고 하는 이유는 작가가 절제의 미학보다는 감정의 과잉'에 빠졌다는 데 있다. 넘쳐흐른다는 점에서 신경숙 소설은 햄버거'다. 하지만 출판 자본'은 < 햄버거 > 를 5년 숙성시킨 김치로 요리한 < 오모가리 찌개 > 라고 광고한다. 신경숙 소설'이라는 기획 상품은 순식간에 한국을 대표하는 한류 음식으로 소개된다. 그런데 이를 어쩌나.  출판 자본이 광고하는 " 오모가리 찌개 " 를 먹으니 자꾸 콜라 생각이 나는 것이다. 햄버거를 먹을 때마다 이 세상에 콜라가 없었더라면 무슨 맛으로 햄버거를 먹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3 1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변명은 짧을수록 좋다. ˝ 표절 지적 맞다는 생각.... ˝ 이라는 문장은 군더더기다. 표절과 맞다`만 연결해서 ˝ 표절 맞다 ! ˝ 라고 하면 되는데 이쪽 사람들은, 신형철도 그렇고, 말을 비비꼰다. 표절(지적)맞다(는 생각).


표절 지적 맞다는 생각.


에서 신경숙은 신춘문예 지원자의 작품을 심사하는 투로 말한다.
하지만 신경숙은 심판이 아니라 선수다. 심판은 독자가 판단할 일이다.

가넷 2015-06-23 13:24   좋아요 0 | URL
잘못을 시인할때는 군말없이 인정만 하면 되는건데... 안 그래도 더워지가 보니 찌증도 늘어나는데, 인터뷰한 걸보니 더 짜증이 나는군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3 13:37   좋아요 0 | URL
사과과 아니라 변명이죠. 나는 죄 없어요, 건망증이 죄`일 뿐 ! 쉽게 말해서

(독자의) 표절 지적 맞다는 생각이 든다... 는 말은.

당신의 표절 지적도 일리가 있다.
하지만 나는 모르겠다.

이게 무슨 말이야 마리아입니까.


글고.. 시 제목 표절한 것을 두고 그때는 그런게 관행이었다고 말하는데
이 말 어디서 많이 본?

맨날 정치인 청문회 할 때 부동산 실명법 위반하면 정치인들 만날 하는 소리가 그때는 그게 관행이었다는 말....



팔리지도 않는 옛날 소설집 절판한다고 손해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돌궐 2015-06-23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두근두근 내 인생>을 읽으면서 그다지 감흥이 없었는데, 남들이 다들 칭찬하니까 뭐라고 함부로 말을 못하겠더라구요.
문학의 `문`자도 모르는 주제에 허세 쩐다는 얘기 들을까봐. ㅋㅋㅋ 이게 다 말씀하신 마사지 작업의 부작용이네요.
제가 읽어본 김애란 소설책(두 개밖에 없지만) 중에선 강렬한 이미지들을 담고 있는 단편집 <비행운>이 훨씬 더 좋았어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3 13:03   좋아요 0 | URL
김애란 소설을 애정하는 편이라 다 읽었는데 내인생만 빼고 다 좋습니다. 내인생에 쏟아지던 그 찬란한 멘트에 어리둥절했던 기억이 나네요...

이처럼 평론가 떼거지들이 몰아주기 칭찬을 하니 선점 효과가 있어서 반론을 제기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어줍니다. 이게 무슨 비평인가요..

stella.K 2015-06-23 1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든지 첫 인상이 중요하다고 하는 데 저는 김애란과의 인연을 잘못 맺어
별로 읽을 맛이 안 나더군요.
첫인상이 좋은 작가는 후에 좀 떨어지는 작품을 내도 또 좋은 작품 쓰겠지 그런 믿음이 있는데.
그런 의미에서 신경숙도 제겐 별로 좋은 인상은 아니었습니다.
신경숙이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을 때 후배랑 마구 깠던 기억이 새롭네요.
그게 벌써 20년 전 바라보는 일인데...
싫은 건 싫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집단주의 성향이 있어서 그 당장은 말 못하고 후에 일터지면
그때가서 뭐라고 하는 게 많아요.
문평가들 누구 한 사람만이라고 입바른 소리를 했더라면 우리나라 소설계가 지금 보다는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
그게 참 아쉬워요.
지금 중고샵에 가면 신경숙 소설 나온 것들이 많던데 그게 이번 사건을 반증하는 걸까 괜히 그쪽으로
머리가 굴러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곰발님 신경숙이 너무 저격하시는 거 아닙니까?
창비에서 곰발님 예의주시하고 있을 것 같아요.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3 13:53   좋아요 0 | URL
제가 창비 책 팔아준 게 얼마인데요.. 백 만원 넘을 거 가틈... 나름 창비의 븨아이피`입니다.
뭐라 그러면 지랄할 거입니다.

사실 문제 제기를 한 사람은 꽤 있었씁니다. 그게 다 비주류 평론가의 입이다 보니 전혀 라인을 타지 못했어요.
권성우, 강준만, 김명인 등도 계속 문학 권력의 문제점을 지적했으나
듣는 이 아무도 없었죠.



신경숙의 초기 대응도 바로 이런 믿음에서 비롯된 것 아니겠습니까.

라스콜린 2015-06-23 18:51   좋아요 0 | URL
창비는 아직 사과하지 않았습니다. 저격되어 마땅합니다.
신경숙씨는 일단 사과를 하였습니다. 그 맨트와 진정성에 대한 다른 말도 있지만, 작가로서 한 말이므로 일단은 독자로서 수긍할 만 합니다. 후의 그 진정성은 이후의 행동으로 평가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 `표절`을 옹호했던 창비와 문예권력 `문단`은 사과하지 않았습니다. 표절을 옹호하던 문단관계자는 심지어 `우리가 이렇게 싸우면 일본에서 더 좋아한다`라는 황당한 발언까지 남겼습니다. 이들은 더 가여야 마땅합니다. 이들이 오히려 더 고개 숙여 사과해야 합니다. 창비는 마땅히 공식채널로 그간의 표절에 대한 그 출판사의 태도와 이번 사태에서 표절을 옹호한 것에대한 깊은 사죄를 해야합니다.
이들이 사과할때 까지 불매운동과 안티는 계속 되어야 합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4 07:30   좋아요 0 | URL
창비도 웃기지만 문동이야말로 이번 사태의 주인공입니다....

파트라슈 2015-06-23 1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근두근 내인생 처음 몇 장 읽다가 바로 반납해버렸습니다~ 여성작가들 작품 저한테는 안 맞음..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4 07:29   좋아요 0 | URL
단편집들은 매우 훌륭합니다. 함 읽어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수다맨 2015-06-23 1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이재용이 대국민 사과를 하는 것을 봤는데, 삼성 일가에 대한 애정이나 호감은 조금도 없지만 그래도 사과나 해명을 하려면 이렇게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같은 것을 다르다고 말할 수 없다`나 `내 기억을 믿을 수 없는 상황`과 같은 에두르는 말보다는 훨씬 더 직설적이고 영리한 사과문이었습니다.
때로는 돈 많은 자본가들이 문인/학자보다 훨씬 더 지혜롭다는 생각이 듭니다. 적어도 주제 파악과 사태 파악을 제대로 할 줄 알거든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4 07:28   좋아요 0 | URL
주제 파악은 글을 쓰는 사람에게 매우 중요한 능력인데 신경숙은 주제 파악을 잘 못하시는 것 같습니다. 때론 보수 꼴통이 진보보다 가정적인 사람이 많죠.

말리는 시누이가 더 얄밉다고 저는 신경숙은 기대도 안했기에 상관없지만 신형철이 그렇게 보기 싫더라고요..

마립간 2015-06-24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을 읽고 생각을 정리 중인데 일맥상통하는 것이 있어서, ... fast food의 윤리적 문제는 무엇일까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06-24 12:11   좋아요 0 | URL
패스트푸드 값싼 정책`을 위해서 낙농가를 쥐어짜죠.... 낙농 산업이 기업화됩니다. 개인 카우보이들은 수지타산이 안 맞고 말이죠... 그러다 보니 생육 기간을 단축시키려고 소에게 소고기를 먹이고.. 뭐 이런 악순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