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 라이프
이사카 고타로 지음, 양억관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5월
구판절판


복수다! 생트집이라고 욕을 해도 좋다. 재취업센터에 다니다 지쳐버린 자신과, 어깨를 늘어뜨린 채 휠체어를 밀고 있는 이구치를 위해 복수할 거라고 도요타는 두 주먹을 불끈 쥐었다. 사명감이라고 해도 좋았다.
사사로운 분노, 개인적인 원한, 뭐라 해도 좋았다.
공적인 이유로 일어나는 전쟁이나 내분에 비하면 훨씬 더 건전하다. 개미나 벌은 자신들의 집과 집단을 유지하기 위해 싸우지만, 자신의 원한 때문에 상대를 쓰러뜨리지는 않는다.
개인적인 복수가 훨씬 인간적이라고 도요타는 생각했다.
인간이 그렇게 위대해? 휴머니즘이란 말이 제일 싫어, 늙은 개가 그런 말을 하는 것 같았다.-261쪽

-플라나리아가 뭔데?
- 2센티미터밖에 안되는 작은 동물. 뇌도 없을 것 같은 원시적인 동물이지.
-플라나리아는 물이 없으면 못 살아. 그 녀석을 용기에 넣고 들어있던 물을 빼는 거야. 한 곳에만 물을 붓고 그곳에 불빛을 비춰. 그러면 물을 찾아 이동해. 당연하겠지. 그런데 그 실험을 반복하면 플라나리아는 불빛이 비치는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는 거야. 물이 없어도.
- 학습된다는 얘기군
- 맞아. 불빛이 비치는 곳에 물이 있다는 걸 기억하는 거지. 그 실험을 여러차례 반복했어. 어떻게 됐을 거라고 생각해?

- 어느때부터 움직이지 않는거야. 아무리 불빛을 비쳐도 이동하지 않아. 그래서 결국 물을 못 만나 죽어.

- 글쎄, 플라나리아가 싫증을 냈을 거라는 말도 있어. 똑같은 반복에 싫증이 난거야. 그 증거로, 용기 내부의 재질을 바꾸거나 상황을 바꾸면 다시 학습을 해. 아무튼 그 원시적인 동물조차 자실을 선택할 정도로 같은 일을 반복하는 건 지겹다는 거지.

- 그럴듯한 얘기 아냐? 인간은 더더욱 그래. 몇십 년이나 똑같은 생활을 반복하고 똑같은 일을 계속하며 살아. 원시동물도 질려버리는 그런 반복을 사람들은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 알아? '인생이란 다 그런 거지, 뭐'라고. 그렇게 받아들여. 이상하지. 인생에 대해 뭘 안다고 그렇게 단정하고 받아들이는지 난 모두 이해가 안 가

- 좋지도 않은 곳에서 매일 똑같은 일을 하다가는 머리가 돌아버릴 거야. 반복해서 같은 실험을 당하는 플라나리아 신세가 되는거지..... 자네가 옳았다는 거야. 독립에 실패하고, 약간의 빚을 지고, 배신감을 맛보았다고 해도, 무작정 똑같은 매일을 사는 것보다는 올바른 선택이었다는 거지.-271-27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