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사와 리쿠 - 상
호시 요리코 지음, 박정임 옮김 / 이봄 / 2015년 10월
평점 :
품절


피곤에 찌들어 잠을 자고 자고 또 자도 잠이 모자라는 요즘, 겨우 책 한두쪽을 읽다보면 어느새 책을 손에 잡고 잠이 들어있고, 재미있는 드라마를 보다가도 잠이 들어버리고 있는데 [아이사와 리쿠]라는 낯선 만화책이 도착했다.

어떤 책일지 생각해보지도 않고 '데즈카 오사무 문화상 대상'이라는 것에만 혹해서 선뜻 집어들기는 했는데 너무 피곤해서 책읽기를 뒤로 미룰까, 고민하고 있었다.

그런데 피곤한 저녁시간에 어떤 책일까 잠깐 훑어보기만 하고 다음에 읽어봐야지,라는 마음과는 달리 첫장을 펼쳐들고 그 다음에 펼쳐질 이야기가 너무 궁금해서 계속 읽다보니 어느새 하루를 넘겨버리고 말았다. 내가 그리 좋아하는 그림체도 아니고, 이쁘기만 하다고 한 아이사와의 그림은 딱 필요한 선만 그려넣은 스케치일 뿐 이쁘다는 느낌도 없고 뒷배경조차 모조리 생략해버린 호시 요리코의 그림이 어느새 마음에 들기 시작해버렸다.

 

"마치 수도꼭지를 틀 듯 ...  눈물을 흘릴 수 있다"

무심한 듯 내뱉고 있는 첫 대사와 아무 말 없이 눈물을 흘리는 아이사와 리쿠의 모습은 도무지 무엇을 이야기하려는 것인지 알수가 없었다. 그리고 조금 더 읽어나가기 시작하면서 요즘말로 '중2병'이라고 하는, 그런 세상 부적응아 같은 아이사와의 이야기인지, 겉과 속이 다른 이중인격의 아이사와 이야기인지, 아니면...

그래, 솔직히 나 역시 아주 냉소적으로 아이사와 리쿠의 이야기를 읽어나가기 시작했었다. 뭐야, 얘는 정말 내 맘에 안드는 아니야.

그러다가 문득, 자신의 마음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강해보이지만 어쩌면 속으로는 너무 여린 친구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바람을 피우는 아버지의 여자친구를 혼내주고 싶은 건 아이사와 자신보다 엄마의 마음이 그럴것이라고 생각해 행동으로 나서지만 그 마음은 아무도 몰라준 채 - 아니, 어쩌면 아이사와 자신도 알아채지 못한 채 모든 것이 엉망으로 흘러가버리고 마는 느낌이었다.

 

외롭지만 외롭다는 말은 커녕 그 외로움을 스스로 인식하려하지도 않고 자신은 모든 것을 이겨내고 잘 해나가리라는 생각에 강인한 모습을 보이려 하지만 실상 아이사와 리쿠는 누구보다 외롭고 여리고 상처를 받는 아이인 것이다.

솔직히 책을 읽는 내내 시니컬한 감정으로 '뭐, 이런 애가 다 있어'라는 생각을 하다가... 나도 모르게 울컥해버렸다. 마지막 장을 남겨두고 코끝이 찡해지고 아이사와 리쿠가 어떤 소녀인지, 내가 미처 깨닫지 못했지만 아이사와 리쿠는 그 어린날의 나의 모습인 것 같기도 하다는 감정이 훅 쏟아올라와 한동안 멍하니 앉아있었다...

 

무심한 듯 그려내고 있는 등장인물들의 스케치와 무심코 내뱉는 듯 한 대사가 아무렇지도 않게 쓱쓱 지나가고 있지만, 책을 계속 읽어나가면서 그 인물 묘사와 표현들이 너무도 세심하게 감정선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고 결국 냉소적인 내 마음은 어디론가 사라져버리고 아이사와에게 감정이입을 하게 되어버리고 말았다.
"마치 수도꼭지를 틀 듯.. 눈물을 흘릴 수 있다"라는 첫마디는 이야기의 끝과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거짓말처럼 그 눈물의 느낌이 완전히 달라지고 있다. 카타르시스라는 건 바로 이런 것일꺼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