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장하석 지음 / 지식채널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에서 받아들여진 지식을 철학적으로 재조명한다는 것은 그 지식이 과연 제대로 정당화되어 있는가를 재고하는 일입니다.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알지요?'하고 다시 묻는 일입니다. 과학사적인 관점에서는 그 지식이 처음 정립되었을 때 어떤 기준으로 받아들여졌는지를 묻습니다"(253)

 

과학이나 철학에 대한 이야기라고 하면 항상 관심은 가지만 내 이해수준을 생각해봤을 때 쉽게 집어들 수 있는 분야의 책은 아니다. 그래서 조금씩 멀어지기 시작했는데 이미 EBS를 통해 강의한 내용을 토대로 출판된 책이라고 하니 그래도 조금은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라는 얄팍한 기대감으로 책을 읽어보기로 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정말 쉽게 설명해주고 있기는 하다. 욕심부리지 않고 날마다 조금씩 읽어나갈때까지는 괜찮았는데 이야기가 재미있어지기 시작하면서 내달리기 시작하니 내 안에서 과부하가 생겨버렸나보다. 역시 소화시키지 않으며 책을 읽는다는 건 단지 문자를 보고 있는 것과 같은것임을 깨달을뿐이다.

 

어쨌든 책을 읽어보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것은 '과학은 정말 객관적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에서부터 과학이 왜 철학적인 고찰을 통해 바라볼 수 있는 것이어야 하는지 빤히 들여다보인다. 그래도 굳이 이 책을 읽고난 후 주위 사람들에게 추천하게 되는 이유는 과학의 시작점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지 되새겨보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쿤의 과학혁명에 대해서도 잘 몰랐었지만 대략적으로 어떤 것인지 이론적으로는 알 것 같기도 하고, 지금까지 한가지 정답으로만 알고 있던 과학적 지식에 대해서도 환경과 조건에 따라 답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도 새삼 깨닫고 있는데 이러한 내용들은 과학적 지식인 것이 아니라 철학적 관점이라는 생각을 해보고 있다.

세부분으로 나누어 이야기하고 있는 이 책의 내용은 과학이란 무엇인가,라는 기본적인 물음에서 시작하여 개념과 과학사의 흐름을 볼 수 있는 과학지식의 본질을 찾는 첫부분과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명제들이 정말 한치의 오차도 없는 정답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여 실제 실험의 내용을 보여주며 과학철학에 실천적 감각을 더한다는 두번째 부분, 과학지식의 풍성한 창조에 대한 세번째 부분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과학이 어떻게 철학적으로 접목되는지에 대해 인식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적어도 내가 이 책을 읽어본 관점에서는 그렇다는 이야기지만, 사실 다른 사람에게 이 책에 대해 설명을 하라고 한다면 그저 과학이란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정의에서 시작하여 내가 진리라고 믿는 것이 과학이라는 배경을 갖고 있다하더라도 가장 기본적인 의문과 의심의 태도를 취하는 것이 바보짓이거나 쓸모없는 소모전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게된다고 할 것이다. 그와 더불어 역사의 흐름에서 진리라는 것은 주도권싸움에서 이긴 대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는 것임을 인식할 수 있어야한다는 것과 무엇이 옳은 것인지에 대해 끊임없이 스스로 의문을 갖고 답을 찾아가야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고 말하겠다.

 

과학과 철학이라는 어려운 학문이 겹쳐져 있어서 굉장히 인문학적으로 느껴지고 어렵지 않을까 생각되지만 실제로 조금 천천히 생각해보면서 글을 읽어나간다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여러가지 예시와 실험 내용들, 특히 저자의 실제 실험 내용을 읽다보면 전체적인 주제를 향해 다가가는 구체적인 사례들이 그 하나의 에피소드만으로도 흥미로움을 느끼게 하기도 해서 좀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과학, 철학을 만나다'를 끝내며 왜 '철학'이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나 자신뿐 아니라 모든 이들이 한번은 새겨 들어야 하지 않을까 싶은 저자의 말을 그대로 옮겨와본다.

"철학은 분명히 일상생활에서는 대부분 쓸모없습니다. 그러나 쓸모없기 때문에 쓸모 있는 학문입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철학은 꼭 '깊은'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더 중요한 것은 '다른' 이야기를 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지금 당장은 쓸모없지만 나중에 언젠가 필요할지 모르는 생각이 있습니다. 상투적인 사고에 도전함으로써 사회의 경직화를 막고 사회의 다양화를 촉진하는 것이 철학과 철학자가 가진 중요한 사회적 기능이라는 것이 저의 소견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14-12-14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학은 항상 읽고는싶은데 저에겐 진입장벽이 가장 높은 분야예요. 그래도 이책은 왠지 저도 읽을 수 있을것 같아 담아갑니다. ^^

chika 2014-12-14 18:01   좋아요 0 | URL
네. 저는 좋았어요. 새롭고 흥미로운것도많고. 바람돌님도 좋아하실거예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