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해킹 - 탐하라, 허락되지 않은 모든 곳을
브래들리 L. 개럿 지음, 오수원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도시 탐험가는 가상공간의 해커처럼 도시 건축의 균열들을 샅샅이 탐색한다. 이들의 목적은 우리가 매일 생각없이 지나치는 공간에서 좀 더 깊이 있는 의미를 찾는 것이다"

 

도시 해킹이라는 것이 생소한 나는 해커의 이야기와 얽혀있는 흥미로운 소설인가, 라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됐다. 하지만 이것은 소설이 아니라 에세이이며 도시를 탐험하는 이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다큐멘터리같은 기록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도시 탐험이란 '호기심 많은 사람이 겉으로 드러난 세계의 이면을 발견해가는 내부 관광'이라고 제프 채프먼이 개념 정의를 내렸는데 트로이 파이바라는 '일시적이고 낡고, 버려진 공간'을 찾아내고 탐험하는 작업이라고 정의내렸다.

사실 개념정의가 어찌되었든 도시탐험가들은 진입 금지된 공간에 잠입해 사진을 찍고 탐험한 내용을 전 세계 사람들과 공유한다. 그것은 도시 공간과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바로 세우고 그 기록을 남기기 위한 작업이다.

이 책의 저자 역시 도시탐험가들과 함께 8개 국가의 300개가 넘는 공간 침입에 참여한 개인적인 모험담을 담고 있으며 또한 사람들이 도시탐험가가 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이 책을 쓴 것이다.

 

도시 해킹이라는 것이 처음엔 낯설었고 그 다음 도시 공간의 그 모든 곳을 탐하며 탐험하는 활동과 도시탐험가들에 대한 호기심이 일었고, 그들의 도시 탐험 이야기를 읽어나가면서 왠지 좀 무모해 보이기도 했다. 이 위험한 탐험을 하는 이유가 단지 재미를 느끼고 즐기기 위한 것이라면 그리 권장할만한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도시탐험대의 작업이 도시의 권력을 시민들이 되찾는 일들 중 하나라고 해석하고 있다. 우리에게 금지된 것들, 그 많은 것들이 진정 누구를 위한 금지인 것인가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있을 때 점심을 먹기 위해 식당에 가서 음식을 기다리면서 무심히 티비를 보고 있었는데 인터넷 이슈라며 한 여고생이 학교를 휘저어 다니며 3층 높이의 옥상에서 지상으로 닌자처럼 뛰어다니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 나오고 있었다. 처음에는 컴퓨터그래픽으로 조작한 화면인가 싶어 흥미롭게 보고 있었는데 그 소녀의 모습을 찍는 카메라가 흔들리더니 카메라를 들고 있는 사람 역시 소녀의 뒤를 쫓아 높은 곳에서 너무 쉽게 바닥으로 착지하며 영상을 찍고 있었다. 그러한 그들의 모습을 단지 '위험'이라는 말을 앞세워 금지시켜야 하는 행동일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은 바로 이 책을 읽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스개처럼 까따꼼베에 들어가 혼자 헤집고 다니다 미로를 빠져나오지 못해 아직도 길을 찾아 헤매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얘기를 했었는데 실제로 도시 탐험을 하는 이 중에 프랑스의 지하 미로에 들어갔다가 10년이 지난 후 사체로 발견되기도 했다고 한다. 유럽의 지하통로에 대한 이야기는 수많은 소설과 역사에서 많이 접해왔는데 언젠가부터 그곳은 금지구역이 되었고 접근금지가 되기 시작했다. 그러니까 한편으로 생각하면 위험하기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그런 조치가 취해졌으리라 생각하게 되지만 또 한편으로 생각하면 중세 시대에 기득권을 가진 귀족들이 그들의 살 궁리를 위해 지어놓은 지하통로를 현대에 와서 역시 모두에게 개방되지 않는 것 중의 하나라고 생각해보게 되기도 한다.

고소공포와 낯설고 막힌 공간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내게 이들의 도시탐험 이야기는 뜬구름 같은 이야기로 들리지만 도시에서 시대와 역사를 같이 했던 공간에 대한 탐험은 모험과 즐거움이 가득할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도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던져주기도 한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