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게 되어 영광입니다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31
미나가와 히로코 지음, 김선영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이렇게 전개되어 결말에 이르는 이야기가 참으로 좋다. 요즘처럼 시절이 하수상하고 죄없는 수많은 목숨이 생명을 잃은 비극과 불안의 시대에는 더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러니까 왠지 기운빠지게 하는 결론을 유출해버리는 것이 되는 것이겠지만 이 책을 읽는 동안 만큼은 셰익스피어가 이야기한 대로 '끝이 좋으면 다 좋다'라는 말을 소리높여 이야기하고 싶다.

 

'열게 되어 영광입니다'는 저자의 명성과 이 작품의 수상 내역만으로도 충분히 큰 기대를 하게 된다. 하지만 많은 문학작품들이 그렇듯 수상 내역이 작품의 진가를 증명한다기보다는 그 작품 자체로서 독자에게 증명을 받게 되듯 이 작품 역시 책을 읽게 되면 본격미스터리대상을 받을 만 하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글은 일본작가의 작품이지만 배경은 18세기의 런던이다. 더구나 본격미스터리 대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미스터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당연히 열광하며 읽게 되겠지만 전체적인 줄거리를 보면 굳이 미스터리를 좋아하는 독자가 아니더라도 무척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이야기가 한가득이다.

 

18세기의 런던,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유럽에서도 인체의 해부는 터부시되어 있는 시대이다. 그런 사회적 편견이 가득한 사회에서도 외과의로서 해부학에 대한 강한 열의를 갖고 해부 실습을 위해서라면 도굴꾼들에게 시신구입까지 서슴지않고 행하는 대니얼 버턴과 그의 해부학 교실에 열정적인 제자들이 있다.

평소처럼 해부실습을 위해 시신을 구입해 해부를 실시하는데, 갑작스럽게 들이닥친 경찰의 눈을 피하기 위해 잠시 시신을 숨겨뒀다가 다시 꺼내는 과정에서 감춰져있던 시체 두 구가 더 발견된다. 끔찍하게도 사지가 다 잘린 소년과 얼굴이 짓뭉개진채 방치된 남자의 시체인데 누가 봐도 타살로 추정되며 유기된 것이다. 그로인해 대니얼 버턴이 살인자 혐의를 받게 되지만 치안판서 존 필딩은 성급한 결론을 미루고 시체의 신원 확인과 살인범을 찾기 위해 대니얼과 해부학교실 제자들의 협조를 구한다.

맹인이지만 정확한 판단력과 지혜를 가진 판사 존 필딩과 그의 조카이면서 보 스트리트 러너스인 앤과 그녀의 동료 애벗의 활동이 뒷받침이 되어주고, 해부학 교실의 수제자 에드워드와 나이절의 활약이 맞물리면서 미스터리한 사건은 해결이 되어가는 듯 한데...

 

이야기의 전개는 시골에서 작가로서의 꿈을 품고 성공을 위해 런던으로 온 소년 네이선의 이야기와 교차되면서 타살로 추정되는 사체가 발견되어 그 범인을 찾아내는 미스터리한 부분과 네이선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런던의 풍경과 생활을 통해 당시의 런던 사회의 모순들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요소들이 미스터리를 좋아하는 독자뿐 아니라 이야기 자체를 좋아하는 독자들까지 이 책을 흥미롭게 읽을 수 있게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나로 말할 것 같으면, 끝이 좋으면 다 좋다,라는 말을 기분 좋게 내뱉으면서 감히 '이 책을' 열게 되어 영광이라는 생각을 할뿐 더 이상 무엇을 말할 수 있겠는가, 라고 말할 수 있을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