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 목걸이 - 딜쿠샤 안주인 메리 테일러의 서울살이, 1917~1948
메리 린리 테일러 지음, 송영달 옮김 / 책과함께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박 목걸이는 영국인 메리 린리가 1917년 한국으로 와서 태평양전쟁으로 미일관계가 악화되면서 일제에 의해 강제추방되기 전까지의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녀는 1948년 남편의 유골을 한국 땅에 묻기 위해 찾아온 것이 마지막 방문이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그녀가 생활하던 딜쿠샤는 어떻게 되었을까? 아니, 애초에 왜 그녀의 삶이 궁금한것일까?

사실 우연찮게 티비를 보다가 딜쿠샤라는 낯선 이름을 보게 되었다. 어떤 프로그램이었는지도 기억이 나지 않지만 외국인이 거주하던 딜쿠샤 - 기쁜 마음의 궁전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 의 주인에 의해 독립선언문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으며 그 집 자체가 역사적으로 문화유산의 가치를 갖고 있다는 내용을 본 기억이 있다. 그러지 않았다면 이 책 '호박 목걸이'는 우리나라에 선교활동을 하러 온 선교사의 한국에서의 삶을 기록한 책으로 치부하고 별 관심을 갖지 않았을 것이다.

'호박 목걸이'는 메리 린리가 한국으로 오게 된 운명과 같은 매개가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어린시절 호박 목걸이에 매료되어 버린 메리는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호박'을 조선이라는 동양의 나라에서 볼 수 있다는 것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 아, 물론 그녀가 한국에서 살게 된 직접적인 이유는 남편인 브루스를 따라왔기 때문이지만.

 

이 이야기는 한 여성이 자신에게 주어진 평범하고 틀에 박힌 생활을 박차고 나가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나가는 모험으로  읽을수도 있고 개화기 시대를 한국에서 살았던 외국인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우리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에 대한 호기심으로 펼쳐볼 수도 있는 책이다. 사실 개화기 시대 우리의 모습을 바라보는 외국인의 시선이라고 하기에는 뭔가 좀 부족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이 글을 쓴 메리 린리가 그러한 관점에서 책을 쓴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부분은 감안을해야 할 것이다.

그녀의 파란만장한, 모험 가득한 삶의 이야기라고만 생각을 해도 이 책은 한편의 소설처럼 읽을 수 있으니 그리 나쁠것도 없지만.

 

일제시대 개화기의 긴박한 상황에 대해 세세히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간혹 등장하는 고종의 장례식이라거나 삼일절 독립운동에 대한 이야기등은 우리의 역사에 대해서도 새롭게 또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기도 했다. 그녀가 우리를 바라보는 시선이 긍정적이고 존중하며 이해를 하려는 모습이 느껴져 더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기미년 삼일절 당시 아이를 출산하면서 병원에 있게 된 것으로 우연히 독립선언문을 숨기는데 일조하게 되고 그것이 그녀의 남편에 의해 전세계에 공표되게 된 것들은 그녀가 우리의 독립에 대한 의식이 있어서는 아니지만 조선을 미개한 나라로 보지 않고 더 많은 이해의 시선으로 바라보려 했기에 가능한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한 부분은 남편과의 대화에서도 나타난다.

["간섭하지도 말고,동양의 방식에 맞서려고 하지도 말아요." 돌이켜보면 그것은 내가 배워야 할 가장 중요한 교훈이었다. 그 가르침을 받아들이지 않으려 했던 사람들은 결국 신경쇠약에 걸려 고향으로 돌아갔다.](135)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며 가르치려 들거나 우리의 방식이 틀렸다고 고치려 들지 않는다는 것이 그리 쉽지는 않을 것이다. 삶의 방식과 문화가 다름을 인정하며 살아가려고 한 메리 린리의 모습을 보는 듯 하여 뭔가 새롭다. 딜쿠샤가 지금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것은 단지 오래된 역사를 간직하고 있어서만은 아니라는 것도 느낄 수 있고.

 

책을 읽으면서 메리 린리의 더 많은 그림이 없는 것이 아쉬웠고, 그녀가 만난 많은 한국인의 이야기, 한국의 풍경 모습에 대한 이야기가 더 많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아쉬움만을 남기고 있지는 않다. 우리 역사의 한켠을 차지하고 있는 딜쿠샤의 주인이었던 그녀의 이야기는 그 자체로도 흥미롭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