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다
정수일 지음 / 창비 / 2004년 10월
장바구니담기


사람마다 인생의 여로에서 남겨놓은 족적은 천차만별이오. 그 족적은 저마다의 영욕을 입증하는 증좌이기도 하오. 나는 이 사실을 형상적으로나마 한번 체험해보고 싶어서 눈위에 여러가지 모양새의 발자국을 찍어보기로 했소.-83쪽

바른 걸음거리로 찍은 발자국은 걸음나비가 고르고 온당하며 걸음의 리듬을 다시 확인하기에도 자신이 있었소. 분수에 맞는 제걸음으로 땅에 든든히 발을 붙이고 '우보천리'하는 인생의 행보가 남긴 족적이 바로 이에 해당되겠소. 한마디로 바르고 온당한 족적이오.-83쪽

다음은 두 발을 비꼬면서 걸으니 몸이 중심을 잃고 휘청거리면서 찍어놓은 자국은 헝클어만 지고, 얼마 가지도 못했소. 실타래 같은 인생은 순리대로 풀어가면서 살아야지, 역리로 비꼬아가면서 살면 그 인생의 행보는 늘 불안하고 뒤틀리며 단명일 수밖에 없다는 경고겠지. -83쪽

이어서는 종종걸음을 쳤더니 발자국이 겹쳐서 형체를 분간할 수 없음은 물론, 금세 숨이 차올랐소. 삶에서 지혜와 요령을 잃고 서두르다가 어느새 황황히 도착한 인생의 종착점에서 되돌아보면 어슴푸레한 흔적뿐, 허탈할 수밖에 없는 그 모습이겠지. 이를테면 비뚤어지고 허망한 족적이오.-83쪽

그 다음엔 걸어갔던 길에서 뒷걸음질쳐봤소. 발자국의 걸음나비나 방향이 맞을 리 없어 얼마쯤 남아 있던 발자국마저도 짓뭉개지고 말더군. 역사와 시대의 흐름에서 뒷걸음질치면 어렵사리 남겼던 족적마저도 가뭇없이 사라지고, 공들여 쌓았던 탑도 일시에 무너진다는 이치겠지. 그리고 이 걸음에서 멈춰서기만 해도 남들은 줄곧 앞을 향해 전진하기 때문에 그것은 곧 상대적으로 뒷걸음질이 되는 것이오. 그래서 인생에서의 후퇴나 답보는 자멸이라고들 하는 것이오. 요컨대 퇴보와 침체의 족적이오.-84쪽

마지막으로 뛰어서 발자국을 찍어봤소. 보폭이 넓고 빠르기는 하지만, 자국을 많이 남겨놓을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배열이 성기고 가?하지 않았소. 그리고 바닥이 밋밋한 신발이라서 미끄러져 실족할 뻔도 했소. 오기나 자기 비하에 찬 인생에서 이른바 '도약'이 독려되기는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독려일 뿐, 실행에서는 튼튼한 도약대가 있어야 하는 것이오. 인생에서 무모와 과욕은 '실족'을 자초하오. 인생은 순간의 멀리뛰기나 높이뛰기가 아니라, 한발짝 한발짝 나아감이고 한계단 한계단 오름인 것이오. 뜀뛰기 발자국은 이것을 교훈으로 가르쳐주고 있소. 결국 이것은 허영과 무모의 족적이오.-84쪽

이렇게 나는 눈의 갠버스 위에 인생의 파노라마를 그려봤소. 그리곤 한켠에 서서 그것을 유심히 들여다봤소. 순간, 그 속에서 내 인생의 발자국이 서서히 현현되고 있었소. 내 발자국은 드라마의 얽음새처럼 얽히고 설켜 있었소. 바른걸음, 비꼰 걸음, 종종걸음, 뛰기 등 걸음새가 이것저것 뒤섞여 있었소. 단, 뒷걸음질만은 나와 인연이 멀더군. 그러다보니 족적의 모양새나 걸음나비, 걸음리듬이 각양각색이더군.
흔히들 행적이 묘연할 때를 '눈 속에 남겨진 기러기발자국'에 비유하오. 눈 위에 찍어놓은 기러기발자국은 눈이 더 오거나 녹으면 금세 없어져서 찾아볼 수 없다는 뜻이오. 마찬가지로 내일이면 그 눈의 캔버스는 자취를 감추고 내가 그려놓은 인생의 파노라마는 묘연해질 수밖에 없겠지. 그러나 나는 좀더 확연하고 영원할 인생의 족적을 인생의 캔버스에 그려넣기로 작정하고 바른 걸음으로 운동장을 다시 한번 돌면서 새롭게 발자국을 뛰어나갔소.-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