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브
우르줄라 포츠난스키 지음, 안상임 옮김 / 민음사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책을 받아들었을 때 제목이 왜 파이브일까가 궁금했었다. 그저 단순히 독일 작가의 독일어로 출판된 책인데 설마 파이브가 영어를 말하는 것은 아니겠지, 싶었는데... 정말 그 뜻이었다. 아마 독일어로 5가 뭔지는 모르지만, 파이브라고 하면 거의 모든 사람이 알 수 있는 의미여서 그냥 단순히 영어로 제목을 붙인 것 같다. 어쩌면 이 책은 제목대로 많은 수수께끼를 담고 있는 듯 해보이지만 의외로 깔끔하게 이야기가 진행되고 사건이 해결되는 결말이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사실 나는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지오캐싱이라는 것을 알았는데, 좌표 보는 것은 커녕 동서남북을 구분하고 지도를 살펴보는 것도 잘 하지 못해서 책의 내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면 어쩌나 걱정이 앞섰는데 지오캐싱을 전혀 모르더라도 책을 읽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지오캐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한번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만큼 흥미를 끌고 있는 지오캐싱은 단순하게 표현하자면 GPS를 이용한 보물찾기 같은 게임이다. 그리고 이 책 파이브는 그 지오캐싱을 소재로 잘 구성된 소설인 것이다.

 

어느 방목장에서 살해된 것으로 추정되는 여자의 시체가 발견된다. 뒤로 손이 묶인 채 절벽 위에서 떨어져 사망한 듯 보이는 사체의 발바닥에 의미를 알 수 없는 숫자와 문자가 문신되어 있는 것을 발견한 베아트리체와 플로린 형사는 그 문신이 의미있는 것인지 확인을 하는 과정에서 그것이 좌표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게되고 그것이 지오캐싱이라는 게임이며 범인이 남긴 하나의 메시지라는 것을 알게 된다.

첫번째 좌표에서 캐시를 찾은 두 형사는 캐시에 넣어진 범인의 메모에서 다음 스테이지로 가는 좌표를 얻기 위해 범인의 수수께끼같은 메시지를 풀기 시작한다. 수십개의 성가대를 찾아내고 그곳에서 특정한 이름을 가진 성가단원을 찾고 또 그 가운데에서도 손에 점이 있다는 특징을 가진 사람을 찾아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어렵게 좌표를 얻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캐시를 발견하게 되는데 그 캐시통 안에는 잘린 신체의 부위가 담겨져 있고.....

더구나 범인을 추적하는 와중에 형사 베아트리체에게 범인의 문자 메시지가 도착하는데, 그 (혹은 그녀)는 베아트리체만 알고 있는 사실들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다. 도대체 범인은 누구인것인가? 그리고 왜 그런 범행을 저지르고 있는 것일까?

 

사건의 개연성이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조금은 끔찍한 사실들이 밝혀지기도 하고, 베아트리체는 자꾸만 '만약에'라는 가정이 떠오르면서 자신을 괴롭히고 있음을 깨닫고 그것을 지우려 노력한다. 사실 많은 사람들을 괴롭히는 죄책감이 그 '만약에'라는 것 아닌가. 요즘의 현실에서 더욱 더 그러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어서인지 [파이브]가 단지 스릴러 추리 소설이라는 생각뿐만 아니라 좀 더 심리적인 사건으로 접근하며 읽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고 있다.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못하게 하는 베아트리체와 범인의 두뇌싸움은 지오캐싱이라는 게임을 통해 보물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느낄 수 있을 것 같은 긴장과 마침내 보물을 찾게 되는 희열이 맞물리는 느낌이라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