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사랑하는 사람의 본질적인 평범함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그 광기를 드러낸다. 그래서 방관자 자리에 선 사람들에게는 사랑에 빠진 사람들이 따분해 보인다. 방관자들은 묻는다. 저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한 인간 외에 무엇을 보는걸까?... 플롯은 없고 액션조차도 거의 없는 이야기, 동작이 거의 없는 이야기의 중심에 서 있는 중심인물에 대한 이야기일뿐이었다. 그러고 나서야 나는 사랑이 외로운 일이라는 것을 받아들였다. 기껏해야 다른 한 사람, 사랑하는 사람만이 이해해 줄 수 있는 일이었다.-137쪽
삶의 한 시기가 잔인한 방식으로 끝을 향해서 치닫고 있었다-234쪽
사랑의 보답을 받을 수 없게 되자 사랑을 받고 싶다는 오만이 생겨났다. 나는 내 욕망만 가지고 홀로 남았다. 무방비 상태에, 아무런 권리도 없이, 도덕률도 초월해서, 충격적일 정도로 어설픈 요구만 손에 든 모습으로. 나를 사랑해다오! 무슨 이유때문에? 나에게는 일반적이고 빈약한 이유밖에 없다. 내가 너를 사랑하니까......-242쪽
물리적 세계는 내가 잊는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인생은 예술보다 잔인하다. 예술로서는 보통 물리적 환경이 등장인물의 정신적 상태를 반영한다. 로르카의 연극에서 누군가가 하늘이 흐리고 어둡고 잿빛이라고 말하면, 그것은 순수한 기상학적 관찰이 아니라 심리적 상태의 상징이다. 인생은 우리에게 그런 손쉬운 표징들을 제공하지 않는다. 폭풍이 다가온다. 그러나 이것은 죽음과 붕괴의 전조와는 거리가 멀다. 비가 창문을 때려대는 동안에도 어떤 사람은 사랑과 진실, 아름다움과 행복을 발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따뜻하고 아름다운 여름 날에도 구불구불한 길에서 자동차가 순간적으로 통제력을 잃어서 나무를 들이박고 승객들은 치명적인 부상을 당할 수도 있다.-269쪽
복잡한 문제들을 파고들다 보면 가끔 도달하게 되는 순진한 상식으로 나는 가끔 묻곤 했다(마치 답을 봉투의 뒷면 정도에 다 적을 수 있는 것처럼) "왜 우리는 그냥 서로 사랑할 수 없는 것일까?"-275쪽
문제를 파악하는 것과 문제를 해결하는 것, 지혜와 지혜로운 인생은 크게 다르다. 우리는 모두 능력 이상으로 똑똑하다. 그러나 사랑이 미친 짓임을 안다고 해서 그 병으로부터 구원을 받을 수는 없다. 어쩌면 지혜로운 또는 전혀 고통없는 사랑이라는 개념은 무혈 전투라는 개념과 마찬가지로 모순일지도 모른다. 제네바 조약 이야기를 꺼내지 않더라도, 그런 전투는 존재할 수가 없다.-281-282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