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생각 Meta-Thinking - 생각 위의 생각
임영익 지음 / 리콘미디어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타생각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궁금해 책 정보를 살펴보려고 하는데 띠지에 적힌 말이 바로 그 관심을 꺼버렸었다. '이것이 바로 공부의 진짜 기술이다'

생각의 이중 스캐닝, 생각 위의 생각, 창의력... 이런 것들은 혹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고력에 대한 책은 아닐까 싶어 더이상 도서정보를 살펴 볼 생각을 하지 않고 그대로 잊고 있었다. 그런데 그닥 큰 관심이 없던 이 책에 대해 다시 한번 관심을 가져보게 되었다. 무엇이 계기였는지는 모르겠는데 단순히 '공부'를 잘 하기 위한 창의력 증진 같은 흔한 광고 문구의 내용이 아니라 진짜로 '새로운 생각의 개념'을 담고 있다는 것에 마음이 혹하고 갔던 것으로 기억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연결하고 확장하고 폭발시키는 생각의 점화장치"가 메타 생각이라고 한다면 내가 평소에 재밌어하는 발상의 전환, 역발상,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생각하고 판단하기 같은 내용이 담겨 있는 것인데 띠지의 문구 하나만을 보고 청소년 대상의 가벼운 책이라고 생각했으니 이 책을 읽지 않고 지나쳤다면 나중에 괜한 탓을 하면서 후회했을 것 같다.

 

그런데 책을 다 읽은 지금 '메타 생각'이 뭐냐고 묻는다면 딱히 똑부러지게 무엇이다,라는 설명을 못할 것 같다. 이 책을 읽어본다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을텐데, 사실 창의력, 역발상... 이런 건 개념적으로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있지만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사용하게 되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간혹 나 역시 엉뚱하다는 소리를 듣곤 했었는데 단순하게 생각해본다면 그러한 엉뚱함도 역발상의 한 부분일수가 있다. 그냥 얼토당토 않은 이야기를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또한 한가지 방식의 해결책만을 내놓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으로 생각의 폭을 넓혀 논리적으로 생각해보고 합리적으로 추론을 해본다는 것인데 왠지 이렇게 쓰고 보니 내가 괜히 논리정연한 사고체계를 가진 사람이라고 말하는 듯 하다. 그런 뜻은 아닌데 말이다.

그러니까 결론적으로 이 책의 실체를 보기 전에 이렇게 개념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그리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 책은 이해하기 쉽게 수학 성적을 올리고자 하는 겜이라는 학생을 등장시켜 그 학생에게 수학의 참다운 재미가 성적에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끌어가고 있는데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여러 이야기들과 수의 계산과 개념에 대해 전혀 다른 부분들을 수수께끼 풀이처럼 설명하고 있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그리 어렵지 않아서 더욱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아마도 조금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을 통째로 들어내버려서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좀 더 심화된 이야기들은 그것을 이해하며 받아들일 수 잇는 사람들을 위해 따로 또 한권의 책이 나와도 좋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아무튼 뇌는 쓰면 쓸수록, 창의적인 생각은 하면 할수록 좋아진다고 하니 이제 열심히 뇌세포를 자극하게 될지 모르겠다.

그리고 기회가 된다면 '메타생각'이 무엇인지 정보를 좀 얻고 이 책을 펴보기보다는 그냥 믿고 이 책을 펼쳐보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