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 특설대 - 1930년대 만주, 조선인으로 구성된 친일토벌부대
김효순 지음 / 서해문집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특정인, 특정 집단을 비난하거나 헐뜯으려고 쓴 것이 아니다. 일제의 폭압적 통치기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항일의 잣대를 일률적으로 들이밀어서는안 된다. 항일 행위는 당사자의 목숨은 말할 것도 없고 집안의 파멸까지 초래했던 위험천만한 일이었다. 항일의 현장에서 사살됐거나, 체포 된 후 고문으로 숨졌거나, 수감 생활 중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한을 품은 채 숨을 거둔 사람이 수없이 많다. 그런 고난의 의 길을 걷지 않았다고 모든 사람에게 따질 수는 없다.

그렇지만 항일 운동의 반대쪽에 섰던 사람이 자신의 과거를 미화하고 정당화하는 파렴치한 짓은 결코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어떤 경우에도 김학철과 홍사익을 같은 반열에 놓고 논할 수는 없다. 항일 무장 무대와 간도특설대도 마찬가지다. 간도특설대가 민족의 자랑거리였느니, 민중의 편이었느니 하는 새빨간 거짓말이 돌아다니게 해서는 안된다. '공비 토벌'이라는 말이 항일 영령을 악귀처럼 내쫓아버리는 전능의 부적으로 사용되는 시대는 이제 끝나야 한다. 공비 토벌이 면죄부가 될 수는 없다."

 

왜 간도특설대에 대해 이야기하는가,라는 것은 이제 더이상 질문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실 나는 간도특설대라는 것을 들으면서 잠시 헷갈려했다. 1930년대 만주, 조선인으로 구성된 '친일토벌부대'라는 것을 친일행위를 한 사람들을 처벌하기 위해 특별구성된 부대인건가 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그 뜻이 말 그대로 '친일'토벌부대라는 것을 알고 경악을 금할수가 없었다. 어떻게 이것을 그렇게 정반대로 파악할 수 있단 말인가. 나 자신의 무지함에도 화가 났지만 해방이 되고 국가재건을 하는 과정에서 친일행위에 대한 정확한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친일행적을 한 이들이 국가의 주요 권력을 장악하고 반국가적인 친일행위에 대해서는 공공연하게 묻혀버리고 말았던 우리 과거의 역사가 그대로 드러나는 듯해 더 화가 난다. 저자의 에필로그에서도 말하고 있듯 '항일 운동의 반대쪽에 섰던 사람이 자신의 과거를 미화하고 정당화하는 파렴치한 짓은 결코 용납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우리 역사는 그러하지 않고 있으니...

 

책에 인용된 박지영과 박남표 부자의 이야기는 우리를 더욱 씁쓸하게 하고 있다. 박지영은 항일투쟁으로 목숨을 바친 이들이 많은 항일열사가문의 자손으로 그 역시 항일투쟁으로 목숨을 잃었다. 하지만 그의 가족은 중국, 러시아, 북한 등에 뿔뿔이 흩어져 살아야 했고 그의 아들 박남표는 어린 시절 아버지와 이별한 후 두번 다시 만나지 못했고, 어릴 때 헤어진 어머니마저 살아생전에 만나지 못하고 무덤앞에서 오열할수밖에 없는 슬픔을 겪었다. 하지만 그것뿐이 아니다. 그보다 더한 역사의 아이러니는 그가 함께 한 육사동기생들을 살펴볼 때 더 극심해진다.

"박정희와 송석하는 일제 패망 때 만군 중위와 상위(대위)였다. 펑톈 군관학교 5기생인 송석하는 간도특설대 창설에 주요 역할을 했으며 박남표보다 8세 연상이다. 박남표는 그의 부친이 키웠던 항일 전사들을 토벌하던 사람과 함께 육사 군사교육을 받은 셈이다. 동기인 박종철은 [독립신문] 주필을 지낸 적이 있는 매부가 해방 후 월북했다는 이유로 군에서 파면됐다. 2기가 배출한 대장 가운데 한신은 학병, 문형태는 지원병 출신이었다. 일제의 영향이 여러모로 깊게 남아있는 인적 구성이었다."(84)

 

이 책은 간도특설대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서술한 글이 아니다. 그저 간도특설대가 어떻게 구성이 되었으며 그들의 행적, 그 부대에 있었던 간부들이 어떻게 해방된 조국에서 권력을 잡을 수 있었는지, 중국이 인정한 항일열사 3125명 가운데 98퍼센트가 조선인일 수 있는지... 1930년대 만주에서 일어났던 일의 지극히 일부분을 사실자료에 근거해 담담히 서술하고 있을뿐이다. 책을 읽으면서 항일 조선인에 대해 오히려 우리보다 중국에서 더 인정을 하고 있는 것인가, 생각하니 답답함을 넘어서 부끄러워지고 있다. 우리는 우리 선조들의 항일운동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고 올바른 역사 인식을 갖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

제대로 된 친일행위에 대한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항일열사의 후손들이 힘겹게 살아가고 있다는 것은 어제 오늘 알게 된 것이 아니지만 여전히 제대로 된 역사의 흐름을 잡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그 누구의 잘못이 아닌 바로 현재를 살아가는 나 자신의 잘못일 것이다. 이제 더이상 새빨간 거짓말이 역사의 진실인양 떠벌여지는 일은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