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설하고, - 김민정 산문
김민정 지음 / 한겨레출판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 김민정은 시인이라고 한다. 그리고 한 출판사의 편집자이기도 하다고 들었다. 그런데 그녀의 시는 읽어본 기억은 없다. 지금 그녀의 산문집을 읽고나니 그녀가 쓴 시는 어떤 느낌을 줄까 무척 궁금해진다. "내가 내 무릎을 찍게 될 때마다 그 구부러짐을 들키지 않기 위해 빈번히도 불러다앉힌 말이기 때문에" "자주 쓰는 말이라 함은 결국 자주 필요한 말이라는 뜻"도 되는 [각설하고]는 그렇게 산문집의 제목이 되었다고 하는데, 뭐라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각설하고'의 말 속에는 군더더기뿐만 아니라 구차한 변명조차 늘어놓지 않겠다는 명백한 의지의 표현이 담겨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산문집을 읽고 저자의 시가 궁금해지는 것은, 시적인 감성이 궁금하다기보다는 그 시 안에 담겨있는 보편감성이 궁금해졌다는 이야기이다. 나와는 생활방식도, 여건도 많은 것들이 다르고 실제로 글에서 풍겨나오는 삶의 모습도 완전히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그럼에도 어쩐지 그녀의 이야기는 나의 이야기인 것만 같고 내 친구인것처럼 마주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생각을 공유한 것마냥 느껴지고 있는 것이 신기하다. 살아온 세대가 달라서 어린시절의 이야기는 약간씩 교차점을 이루며 빗겨가기도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면서 경험하고 생각하고 느끼는 것들은 큰 괴리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사회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사건사고들 속에서 느낄 수 있는 단상을 가감없이 적어내려간듯한 산문들은 그 당시의 느낌들을 하나씩 떠오르게 하기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생각을 대변하는 듯 끄집어내고 싶은 이야기를 쏙쏙 뽑아내어 간결하게 정리해주고 있다. 내가 느끼는 이 묘한 공감은 나의 서투룬 말로는 표현이 안되는 것들을 그녀의 짧은 글은 굵고도 강렬하게 드러내놓고 있어서 너무 술술 읽어버렸던 것 같다. 이 산문 안에는 어떤 글이 담겨있었는지, 정리하면서 떠올리려고 했는데 구체적인 이야기들은 하나도 떠오르지 않고 단지 분노하고 공감하고 연민을 갖고 마치 나의 이야기인냥 고개를 끄덕이며 읽은 기억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글은 왠지 편하고 좋은 느낌이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글의 내용만으로 보면 마냥 편한글은 아닌데 말이다.

 

시인이자 편집자인 김민정의 산문을 읽고나니 그녀의 시를 읽고 싶어졌다고 했는데 비단 그녀의 시뿐만 아니라 또 다른 누군가의 시를 읽고 싶어지기도 했다. 꽤 오랫동안 시를 읽지 않고 지내다가 얼마 전 시집 두 권을 샀는데 여전히 시집을 펼쳐들고 한글자씩 새기면서 시를 읽어나갈 마음의 여유를 찾지 못했다. 그래도 그나마 근래에 시집을 좀 샀기때문에 시인들을 걱정하는 저자의 마음에 내 마음이 시리는 것은 막을 수 있었다는 생각을 해 본다. 고양이 엄마인 황인숙 작가의 이야기나 어느덧 예순이 되어가는 최승호 시인의 이야기뿐만 아니라 여러 작가들의 이야기가 친근하게 들리기도 하고 새삼스럽게 느껴지기도 했는데 확실히 시인들에 대한 애정이 더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 마음이 그저 강요처럼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어느새 내게도 스며들어버려 이제 좀 더 짙은 애정을 갖고 시를 읽어야겠다는 다짐을 해보게 되는 것이, 그냥 좋다.

그녀의 산문은 그러한 힘을 가진 글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는 마음이 그냥 좋아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