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 일에서든, 사랑에서든, 인간관계에서든 더 이상 상처받고 싶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관계 심리학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1
배르벨 바르데츠키 지음, 두행숙 옮김 / 걷는나무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을 보고 많은 고민을 했다. 어린 시절부터 유독 나 자신에 대한 비하와 부정적인 생각이 심했던 나는 - 사실 그러한 사실도 인식하지 못하고 살았었는데 성인이 되어 여러 기회를 통해 프로그램에 참가하면서, 친구들과 진지한 대화를 나누면서 나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그러한 사실을 인식하고 고쳐나가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많이 나아졌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나 자신의 내면은 여전히 타인의 작은 말 한마디에도 쉽게 상처를 받고 움츠러들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망설이게 되는 것이다. 나는 잘 극복해나가고 있어,라고 생각하고 싶은데 이 책을 집어들게 되면 움츠러들고 외면당하고 있는 나를 인정해버리는 것만 같아서 회피하고 모른척하고 싶었다. 하지만 정말 내 깊은 곳에서 그런 나 자신을 극복하고 싶다는 열망이 더 강해서였는지 이 책을 읽고 진정으로 달라져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 책을 다 읽고나니, 나 자신이 마음의 상처에서 벗어나기 위한 첫번째 과정 '상처받았음을 시인하라'는 단계의 첫발을 내딛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그 깨달음은 이제 조금씩 나 자신의 마음의 상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더 노력을 하면 되겠다는 생각을 갖게했다.

 

이 책의 뒷부분에는 상처에 어떻게 반응하는 유형인지 간단히 알아보는 심리테스트가 있는데, 나는 나 자신을 상당히 공격적인 사람이라 생각했던것과는 달리 지극히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유형으로 나왔다. 쉽게 자책하고 스스로를 부끄러워하며 열등감을 느끼고, 오히려 자기 자신을 향해서 공격성을 보인다. 상처를 받으면 즉각적인 반응으로 나 자신이 움츠러들고 숨어버린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그리 놀랍지는 않지만 아마도 나를 알고 있는 주위 사람들은 내가 화났을 때 욱하는 분노의 모습을 보면서 공격적이라 생각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는 한다. 하지만 내가 표출하는 분노와 내가 받는 상처는 분명 다른 것이다. 그리고 그 분노와 상처의 이면에는 수많은 상황과 이유가 담겨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어린 시절 집에서 혼자 지내는 시간을 보내야했고, 부모님의 인정도 쉽게 받지 못했고 나 자신에 대한 열등감때문에 나를 칭찬하는 이야기에도 기뻐하기는커녕 나를 비웃는 것은 아닌가 의심하던 나 자신을 알고 있기 때문에 나는 나자신이 받는 마음의 상처가 조금은 더 빨리 극복이 되리라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왜 그랬는가에 대한 부분만이 아니라 나 자신에 대한 자존감과 나 자신의 모습 그대로를 인정하면서 맨 처음 상처입은 곳에서 진정한 화해가 없다면 그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때때로, 자신도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 미처 제어할 새도 없이 튀어나오는 이유는 상처를 일으키는 행위가 우리가 민감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건드리기 때문이다. 나는 그것을 '상처 입은 곳'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바로 그 지점에서 상처를 받았고 앞으로도 계속 받을 것이다.

상처 입은 곳은 과거에 받은 상처가 치유되지 않고 굳어 버린 자리다. 그래서 언제든 조금이라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면 그 즉시 암세포처럼 온 몸으로 퍼져 옛 기억을 들추고 두 배 세 배 아픈 고통을 준다. 다시 말해서 상처를 일으키는 행위에 대한 반응은 지금까지 겪어 온 모든 상처에 대한 반응인 것이다. 자동적으로 분노 역시 지금까지 우리에게 상처를 준 모든 사람에 대한 총체적인 분노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지하지 못하고 마치 지금 눈앞에 있는 상대가 상처 준 사람들의 대표라도 되는 것처럼 싸우는 것이다."(82)

 

사실 어제도 누군가와 모임에 같이 가기로 했는데 시간이 되어 찾아갔더니 말없이 먼저 떠나버린것을 알고 왠지 무시당한듯한 느낌에 기분이 안좋았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난 후 그 조언대로 잠시 숨을 고르고 안정적인 마음이 된 다음 - 평소같으면 나는 아무렇지도 않은 척 그냥 넘겨버렸을테지만 - 그 친구에게 전화를 해 왜 말없이 약속을 어겼냐는 이야기를 꺼냈더니 그 친구와의 사이에 의사전달을 한 제3자의 소통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만약 내가 평소처럼 그냥 넘겼다면 상대방은 아무것도 몰랐을 것이고, 나는 무시당하고 있다는 열등감과 마음의 상처를 안고 주말을 지내게 되었을 것이다.

그러고보면 어쩌면 우리는 상처받을 이유가 없는 것들에 상당부분 상처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더욱더 이 책이 반가워지고 있다. 이미 한 번 읽었지만 자주 이 책을 들여다보면서 나 자신의 상처를 들쑤시는 바보같은 짓을 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분노는 쉽게 낙담하지 않는 투지로, 자책은 긍정적인 자기 반성으로 활용해야 한다. 머리 끝까지 화가 날 때나 열등감에 마음이 움츠러들 때 나 자신을 제어하는 안전핀으로 이 책을 활용하며, 스스로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2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