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신의 식탁 - 우리는 식탁 앞에서 하루 세 번 배신당한다
마이클 모스 지음, 최가영 옮김 / 명진출판사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아이러니하게도, 아니 어쩌면 내게 있어서 조금은 슬프게도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잠시 잊고 있었던 과자의 그 달콤하고 짭짤한 맛들에 대한 기억때문에 장바구니를 들고 마트로 달려가고 싶어졌다. 그 맛에 대한 기억은 마약처럼 중독성이 강해서 끊지 못하고 자꾸만 찾게 된다는 책의 내용이 백퍼센트 체험으로 이해되는 순간이다.

[배신의 식탁]은 설탕, 지방, 소금에 대한 이야기이다. 물론 그것 자체의 해로움에 대해 이야기한다기보다는 가공식품에 첨가된 그 조미료들이 어떻게 우리에게 해독을 뿌려대고 있는지 낱낱이 파헤치고 있는 글이다. 사실 우리 생활에서 설탕, 지방, 소금을 빼버린다면 우리 몸은 심각한 영양소 결핍으로 사망에 이르게 될지도 모르겠다. 설탕과 지방은 잘 모르겠지만 확실히 소금은 우리가 단식을 하고 있을때에도 섭취해야한다고 할만큼 중요하고 필수적인 것이다.

그런데 최근들어 소금의 해악에 대해 여기저기서 언급되면서 우리 식단의 짠맛에 대한 염려증은 곧바로 염장의 일종이라 일컬어지는 김치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김치가 나트륨 덩어리라 많이 먹으면 몸에 해롭다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이 감자칩 한봉지에 담겨있는 나트륨의 양은 체크하고 있을까?

 

"뭐니뭐니 해도 지방이 설탕을 능가하는 보물이 될 만큼 뛰어난 장점은 맛이 입안에서 휘몰아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방은 설탕과 달리 입안에서 은근하고 꾸준하게 매력을 발산한다. 두 성분을 마약에 비유한다면 설탕은 뇌를 급습해서 강타한다는 면이 필로폰이라고도 불리는 메탐페타민과 같다. 지방은 은밀하지만 강력하게 효과를 발휘하는 아편과 비슷하다(205)

이처럼 중독성이 강한 설탕과 지방의 맛은 쉽게 끊기가 힘들다. - 지금 이 글을 쓰면서 졸음을 쫓고 뇌와 혀가 원하는 단맛을 느끼고 싶어 사탕을 먹고 있는데 이 책을 다 읽고 치즈없는 치즈제품, 반이상이 설탕과 소금덩어리로 된 과자들에 대해 경악을 하면서도 이러고 있는 내 자신이 한심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조금씩 식성을 바꿔보려고 하는 노력은 멈추지 않으리라.

 

2012년 미국임상영양학회지에 실린 모넬연구소의 논문은 소금은 아낌없이 사용하는 업계의 행태가 미국인의 짠맛에 길들여진 입맛에 맞춘다는 면에서가 아니라 원래는 없던 소금 중독을 유도한다는 것(321)으로 인식하게 하고 있다. 원초적으로 짠맛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식품들로 인해 짠맛에 중독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자극적이고 중독성이 강한 설탕과 지방, 소금은 사실 우리의 식생활에서 완전히 없앨수는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가공식품에 길들여지는 입맛의 변화는 그만큼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것도 절실하게 깨닫게 된다.

언젠가 광고에 혹해서 기왕이면 과자를 먹더라도 몸에 조금 덜 해로운 것을 먹어야지, 라는 생각에 조금 비싸지만 그런 과자를 선택해 먹으려는데 누군가 옆에서 '래봐야 과자는 과자일뿐'이라는 말에 정신을 차렸었다. 마치 설탕을 먹이지 않으려고 택시까지 타면서 천연재료와 유기농식품만을 먹이는 노력을 하지만 늦잠을 자서 아이가 학교에 지각하게 되니 편의점에 들어가 그나마 덜 해로울 듯한 뮤리얼바를 사먹인다면 그것 하나로 이미 아이는 설탕덩어리를 집어삼킨것과 마찬가지라는 에피소드와 똑같은 것이다.

 

나는 바보처럼 이 책을 읽으며 과자를 먹고 싶다,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가만 생각해보면 요리를 할 때도 되도록이면 소금이나 설탕을 넣지 않으려고 하지 않는가. 달걀말이도 소금없이 하고 찌개의 단맛도 양파로 내는 맛에 만족하려고 하며 그 맛에 익숙해지고 있는 것을 생각해보면 가공식품의 달고 짜고 부드러운 풍미를 아주 가끔 추억하는 것만으로도 생활하는데 큰 무리는 없을 것 같다. 아무리 맛이 좋다한들 치즈 빠진 치즈 식품을 먹고 싶겠는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