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철학의 이 한 마디 - 단군에서 김구까지
김경윤 지음 / 청어람미디어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한국철학의 이 한 마디'가 책 제목이라니. 정말 읽고 싶지 않은 제목이군요. 그런데 책 표지역시 암울하네요. 갑자기 철학이 고리타분하게 느껴져버립니다.

이 책을 권한 사람이 숨은아이님이 아니었다면 그저 그런, 철학을 팔아먹는 책인가..하며 거들떠보지도 않았을지 모릅니다. 고리타분하게 느껴지는 철학책을 누가 읽겠어요.

그런데 이 책은 겉만 보고 판단하면 안된다는 걸 여실히 느끼게 해 주는군요. 저자의 책 머리말을 읽으면서 겉보기로 판단한 선입견이 말끔히 사라져버렸습니다.

"어려운 철학적 개념을 복잡하게 소개하기보다는 철학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점들을 전하려 했습니다. 지식을 쌓고 싶어서 책을 읽은 게 아니라, 느끼고 싶어서 책을 읽었기 때문입니다. 느낀 점은 제 삶을 되비추는 반성의 거울이 되었고,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이 되기도 했습니다. 냉철한 지식보다는 따뜻한 가슴을 만드는 데 소용이 닿는 책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 과거의 철학을 전달하려는 의도보다는 현재의 삶을 음미해 보도록 노력했습니다. 우리가 고전을 읽는 이유도 결국은 현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이 책은 한 마디의 말속에서 삶을 되비추고 사회를 바라보는 삶의 글이 담겨 있는 책입니다. '철학'이라는 말이 딱딱하게 느껴지거나 고리타분한 옛글이라고 생각이 되면 삶을 이야기하는 에세이라고 생각해도 될 듯합니다.  저자가 아니었다면 많은 말들이 그저 과거의 책속에 박혀있는 박제된 글로만 남아있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저 또한 저자의 바램처럼 많은 사람이 편하게 읽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 생깁니다. 살아있는 삶의 글이 많이 읽혀야하는거 아닌가요?

오래전에 읽은 책을 이제야 정리하려니 전체적인 느낌밖에 쓰지 못하겠네요. 단군에서부터 시작하여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많은 인물들의 삶과 중첩되어 저자의 삶 이야기도 나오고.. 그 삶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내 삶의 모습도 스멀스멀 올라오곤 했다는 기억은 있습니다.
이 책을 읽게 되는 다른 누군가도 그렇게.. 역사속의 인물을 책속에 박힌 낡아빠진 박제로 만나지 않고 삶의 모습으로 만나게 되었으면 좋겠군요.

"우리 모두는 시궁창 속에 있지.
하지만 우리 가운데 몇 사람은 별을 바라보고 있다네"
- 오스카 와일드 (p290)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은아이 2005-03-14 18: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야 읽었어요. ㅠ.ㅜ 따스한 리뷰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