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하:세기말의보헤미안]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무하 : 세기말의 보헤미안 - 새롭게 만나는 아르누보의 정수
장우진 지음 / 미술문화 / 201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어디선가 한번쯤은 본 기억이 있는 그림들, 화려한 꽃장식과 온라인 게임의 판타지 왕국에서 볼 수 있을 것만 같은 인물들의 그림들을 보면서 그 그림을 그린 사람이 누구인가에 대한 궁금증은 한번도 가져본 적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세기말의 보헤미안 무하'라는 이름을 들었을 때 역시 언젠가 한번은 들어 본 이름인데 누구지? 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리고 내 눈에 익숙한 그림들을 마구 넘겨보게 되어서야 비로소 백여년 전에 무하라는 화가가 살았었고 그의 그림은 그 어느 누구의 그림보다 친숙하게 우리의 일상에 퍼져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그렇게 별다른 의식이 없었던 나에게 '알폰소 무하'라는 이름을 기억하게 해 주었다. 누군가의 말처럼 그의 그림을 미술 서적에서 본 적은 없는 것 같다. 책의 삽화나 잡지의 표지, 우편엽서나 달력, 포스터나 광고문구에서 쉽게 볼 수 있기에 그 가치를 귀하게 생각해본적도 없다. 더구나 나는 그의 그림들이 모두 상상과 판타지의 이미지라고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그의 그림들은 모델들을 그린 것이고, 아르누보의 무하양식이라고 해도 무색할만큼 그 자신의 특징적인 표현기법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었다. 피카소의 어릴 적 스케치를 보면서 그의 천재성이 이미 드러난 그림이다,라는 글을 읽은 기억이 있는데 이 책에 실려있는 무하의 8살에 그린 예수 그림 또한 무하의 그림에 대한 천재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 본다.

 

이 책은 19세기 말의 예술사적 흐름과 시대의 배경을 먼저 설명하고 무하의 탄생과 성장배경,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나름 동시대의 예술가들에 대한 책과 미술서적은 많이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무하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실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어쩌면 무하의 많은 작품들이 예술작품으로서 감상을 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광고나 포스터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상업적인 작품활동이 더 많았기 때문에 그 작품의 가치를 일상적인 생활용품처럼 생각해서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사실 무하의 작품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나는 지금도 무하의 그림과 판타지 온라인 게임 속 여왕의 캐릭터를 비슷한 이미지로만 기억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신화적인 표현과 상업적이고 화려하고 장식적인 그림만 알고 있는 것으로 끝냈다면 말이다.

북디자이너로서의 무하 작품인 '하얀 코끼리에 대한 추억' '트리폴리의 공주 일제'의 삽화나 프리메이슨과 같은 이단활동으로 이교적인 분위기가 담겨있기는 하지만 그의 '르 파테:주기도문' 같은 작품은 단순한 삽화만의 의미를 뛰어넘는 것이다. "이 작품은 무하가 세상 사람들에게 보내는 하나의 메시지이다. 그것은 인간이란 비탄과 괴로움 속에 사는 불안정한 존재일지라도 신이라는 초월적 존재에게 언제나 보호받고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이다. 이 작품을 통해 무하는 진정한 철학적 사색가로 인정받게 되었고 [르 파테]는 무하의 예술적, 철학적, 종교적 이상을 보여주는 가장 의미 있는 작품"(153)이다.

 

무하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고향인 체코의 역사에 대해 좀 더 알 필요가 있는 것 같다. 그의 수많은 작품들은 그가 이뤄내고자 했던 <슬라브 서사시>의 준비작업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슬라브의 역사를 상징적으로 담아낸 이 연작에 무하는 자신의 민족과 조국에 대한 자긍심은 물론이요, 범슬라브인에 대한 애정을 녹여 낸다"(140)

민족과 조국의 근원을 찾고, 계속성의 유지를 위해 역사적인 과거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고 그 말 그대로 살아온 무하의 <슬라브 서사시>는 드디어 1928년 그의 조국에 기증되었다고 한다. 그 이후 1936년부터 인류 보편의 문제를 담고자 시작한 3부작 이성의 시대, 지혜의 시대, 사랑의 시대는 2차대전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몰린 무하의 죽음으로 인해 미완성으로 남게 되었다. "이 3부작은 그의 생애를 이끌어 왔던 박애적이고 낙천적인 신념을 담아내고 있다. 이성과 사랑의 힘이 예지에 의해 조화를 이루는 세계를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이 작품에서 더욱 고양된 인간으로의 길을 이끄는 '세계의 위대한 혼'은 빛나는 여성의 모습을 하고 우리 모든 인류를 끌어안는다"(259)

 

이처럼 나는 이 책을 통해서야 비로소 알폰소 무하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고 조금 더 알게 되었다. 그의 장식적인 그림들은 한세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으며, 그의 그림들은 단순히 장식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누구나 보았지만 누구도 제대로 알지 못했던 화가'라는 말은 무하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내게 무하를 표현하는 정확한 한 문장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지금, 많은 이들이 알폰소 무하라는 이름을 기억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