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으면 읽을수록 문제제기만 가득하지 정리되는 것은 없다. 내가 꽤 도덕적인 사람이다,라는 생각을 버린지 오랬기에 그나마 문제제기가 가능한것인지도 모르겠지만. 뭐, 어쨌든. 

적어도 한 챕터정도는 읽어줘야 조금씩이라도 정리를 할텐데 겨우 한쪽을 읽는 것도 버거워 그와중에 졸고앉았다. 아, 이번주는 좀 힘든 주간이었어..월요일 오후부터 벌써 금요일같은 느낌이었다니까 라고 변명을 해 봐도 소용없다. 내용이 정리되지 않아 무슨 말을 읽고 있는지 몰라서 더 졸고 있다는 걸 나 자신이 너무 잘 알고 있으니까. 

글을 쓰다가 손가락질 한번의 실수로 화면이 사라지고, 임시저장된 글을 불러오니 쓴 글의 반이 사라져버렸다. 도대체 겨우 1분도 안된 시간에 내가 무슨말을 하려고 했는지 잊어버리고 있다니. 어쨌거나. 난 정말 철학적인 인간이 아니다. 그렇다고 놀이하는 인간도 아닌데. 뭐냐.. 인간이 아닐수도? 

도덕,이라는 것은 종교와 관련된것만이 아니라는 걸 인식하기까지 꽤 많은 사유가 필요한것인가에 대한 생각은 오로지 나 혼자만 하고 있는것인지? 

  

 

 

개인의 권리와 공공선, 무엇이 우선인가 

: 개인의 특정한 권리가 너무나도 중요하기 때문에 공동선을 고려하더라도 그러한 권리를 무시할 수 없다면 그 권리는 어떤 권리인가. 

자유지상주의적 자유주의자들은 정부가 기본적인 시민적, 정치적 자유를 비롯해 시장경제가 부여한 노동의 대가 또한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 따라서 부자들에게 세금을 매겨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재분배정책은 인간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다.  

평등주의적 자유주의자들은 기본적인 사회, 경제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시민적, 정치적 자유를 유효하게 행사할 수 업다고 주장. 따라서 정부는 모든 사람들에게 교육, 소득, 주택, 의료 등 제대로 된 혜택을 권리로 보장해야 한다. 

권리지향적 자유주의자들은 우리에게 어떤 권리가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설명을 제시하면서도, 인간의 권리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정의가 정당성을 갖추려면 좋은 삶에 대한 특정한 개념에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칸트, 롤스 그리고 오늘날 자유주의자들의 이론에서 중심이 되는 이러한 생각은 옳음(권리)이 좋음(선)에 우선한다는 주장으로 요약된다.(217-2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