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성의 물건들 - 옛 물건은 훗날 역사라 부르는 모든 사건의 '씨앗'이다 주용의 고궁 시리즈 1
주용 지음, 신정현 옮김 / 나무발전소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난히 글이 읽히지 않을 때가 있고 생각이 떠오르지 않을때가 있고 글이 자연스럽게 안쓰여질 때가 있다. 이럴때는 무상무념 티비보면서 멍때리는 것이 최고겠지만 눈 앞에 쌓여있는 책을 읽어야한다는 강박이 자꾸만 책을 펼쳐들게 한다. 소설이라면 집중이 되지 않을 때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알 수 없지만 도판이 많은 책은 또 다르다. 이 책 '자금성의 물건들'은 그래서 글을 읽기 전에 먼저 도판을 보기 시작하며 조금씩 관심을 갖게 되었다. 


청동 유물들을 보며 우리나라의 섬세한 유물과는 또 다른 모습이라고만 생각하며 도판을 넘기다가 설명을 읽고난 후 다시 사진 속 물건을 보니 그 느낌이 또 다르다. 그저 받침다리로만 보고 넘겼던 것이 귀엽게(!) 혀를 내미는 호랑이 형상이라는 것도 재미있고 단순한 생활의자의 등받이에 물결무늬가 또 새롭게 보인다. 

저자가 자금성의 유물들을 물건이라고 부르는 것은 시간을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여러 왕조의 비바람이 수렴되어 있고 시간의 힘이 응축되어 있는" 물건의 무한한 시간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이 모든 것은 또한 언젠가 다 사라질 것이지만 저자는 "우리 옛 문명에 대한 경이와 경탄이며 문화의 핏줄에서 나오는 자부심이다"라 말하고 있다.(6-11)

저자의 이 말이 모든 문화유산에 대한 것이라면 좋았을텐데 책을 읽다보니 저자가 말하는 '우리'라는 것은 말 그대로 중국의 유물에 대한 것뿐이라는 느낌이 들어 조금은 마음이 쎄해진다. 


"China가 도자기를 의미하는 것을 중국인은 모두 안다. 그러나 Japan이 칠기를 의미하는 것을 아는 사람은 적다. 일본 사람들이 칠기를 나라 이름으로 삼은 것은 칠기가 화려하고 아름답고 자연과 융합하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사실은 칠기의 역사가 자기의 역사보다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국명은 그 문명의 화려한 아름다움을 암시하기도 하지만 그들의 문명이 중국보다 유구하다고 표현하려는 의도도 있다. ... 우리 스스로 잃어버린 것들이 너무 많다. 이를 찾아오려면 서둘러야 한다"(296)

소시오패스, 사이코패스와 더불어 나르시시스트는 피해야 되는 사람들이라고 하던데 모든 세상의 중심은 차이나, 라고 하는 것 같은 발언에 옛 물건들에 감탄을 하던 마음이 조금은 식어버렸다. 하지만 이는 그저 저자의 이야기일뿐 옛 물건의 아름다움과 가치는 사라지거나 변하는 것이 아니니 사심없이 아름다움에 빠져들어보자. 당나라 시대의 채색한 도기 인형이 중국의 비너스라고 칭하는 것에는 반박할 이유가 없으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