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과 밤, 하늘의 신비를 찾아서 - 사진과 함께 즐기는 경이로운 천체의 향연
헬가 판 루어.호버트 실링 지음, 이성한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늘의 신비는 모르겠고 그저 '사진과 함께 즐기는 경이로운 천체의 향연'이라는 말에 신비로운 하늘의 사진을 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무작정 책을 펼쳐들었다. 그런데 첫느낌은 '아름다운' 사진이라기보다는 그냥 하늘의 구름 사진이라는 느낌이었고 별생각없이 아마추어의 하늘사진인가 싶었는데 글을 읽다보니 그냥 사진가들의 글이 아닌 것 같았다. 저자의 이력을 보니 역시나 헬가 판 루어는 네덜란드의 기상학자이고 호버트 실링은 과학 저널리스트이며 아마추어 천문학자이다. 

전문과학도서가 아니라 역자의 글을 우리나라의 기상학자나 천문학자가 감수를 하지는 않은 것 같은데 만약 감수자가 있었다면 수많은 구름의 이름을 라틴어로 확인하는 것만이 아니라 우리말로 양떼구름, 새털구름, 파도구름 등으로 표현되면 더 좋지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구름이나 계절별 천체의 모습도 담겨있으면 더 좋았겠고.


하지만 그렇지 않다하더라도 이 책은 무척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맑은 하늘에 비행운이 긴 선으로 밑줄긋기를 하는 것이나 구름 사이에 구멍이 뚫려 햇살이 쏟아지고 부채살처럼 후광효과를 내는 것 역시 과학적인 설명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낮의 하늘뿐 아니라 밤하늘의 이야기도 이어진다. 어릴적에 산에서 본 수십개의 별똥별이 환상이 아니라 실제로 그렇게 운석이 떨어지는 것임을 확인하기도 했다. 공전과 자전, 회전축, 상현과 하현달... 괜히 이런 어려운 용어로 천체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보여지는 하늘의 모습 - 때로는 인공위성의 사진을 통해 그런 천체의 사진이 보여지는 이유를 설명해주고 있어서 글의 내용이 어렵지않아 좋다. 


부록에 있는 구름알아맞히기와 별빛알아맞추기는, 원래도 하늘을 올려다보는 걸 좋아하는데 이제는 더 관심을 갖고 관찰을 하면서 하늘을 보게 될 것 같다.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하늘을 찍는 법은 별 것 아닌 것 같으면서도 은근 도움이 된다. 타임랩스로 촬영을 해본적은 없는데 언젠가 청명한 밤하늘에 별이 반짝이고 있다면 한번 시도해보고 싶은 촬영이다. 지금 이곳에서는 가로등이 너무 밝아 별을 보는것조차 어렵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