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락방 클래식 - 은밀하고 유쾌한 음악 속 이야기
문하연 지음 / 알파미디어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래식 음악은 듣고 또 들어도 잘 모르겠다. 익숙한 선율을 들으면 아! 하며 좋아하지만 정작 그 곡이 누구의 어떤 곡인지 알 수 있는 건 많지 않다. 그냥 느낌대로 듣고만 있어도 좋지만 그 곡이 탄생하게 된 배경을 알게 되면 그 선율이 더 마음에 남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는데 그런의미에서 보자면 이 책은 클래식에 대한 관심을 갖기에 좋은 책이다. 

사실 처음 책을 펼쳤을 때는 그 유명한 슈만과 클라라와 브람스의 관계에서부터 시작하여 음악가들의 연애사에 대한 이야기인가 싶은 느낌이었다. 슈베르트, 베토벤, 쇼팽... 이어지는 이야기에서 음악보다는 음악가들의 연애사만 눈에 보였던 것이다. 그에 더해 베토벤은 작곡료를 속이기도 하고 귀족이 아니면서도 이름으로 인해 사람들이 그를 귀족으로 오해하는 것을 은근히 기정사실화했다는 등의 이야기는 오히려 베토벤의 음악에 대한 감동을 감소시켜버리기도 했다. 

하지만 모든 것을 한 단면만 보고 판단할수는 없는 것이며 청각상실의 고통에서도 음악에 있어서만큼은 진심이었으리라 생각되는 베토벤을 떠올리면 또 그의 음악을 평가절하할수는 없는 것이다. 


책을 읽으며 이야기에만 빠져서 굳이 음악을 찾아 듣지는 않았는데 클라라 하스킬에 대한 이야기를 읽는 동안에는 그녀의 연주가 어떤지 궁금해 클라라 하스킬 연주의 모짜르트 피아노 협주곡 24번을 찾아 들었다. 그리고 그녀에 대한 지식채널의 동영상을 봤는데 책에 나온 내용과 똑같아 저자가 지식채널의 내용을 인용한 것인가 싶다. 클라라 하스킬에 대해 알게 된 것이 좋았고 정말 오랫만에 자클린 뒤 프레의 연주를 들어본 것도 좋았다. 

그러고보니 다락방 클래식은 다락방을 뒤적거리다 찾아내게 되는 보물을 얻는 느낌을 갖게 되기도 한다. 


돌이켜보니 단지 음악가들의 연애사인 것이 아니라 그들의 생애에서 음악에 영향을 끼친 사랑의 감정이며 그들에게 그 순간만큼은 진심임을 떠올리게 된다. 음악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운 감동을 느낄 수 있기도 하겠지만 그 음악을 만든이들의 마음, 연주하는 이들의 삶을 알고난 후에 다시 들어보는 음악은 그 감동을 더 높여주기도 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