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1페이지 철학 365
최훈 지음 / 비에이블 / 202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세계관이 떠오른다. 그리고... 그것으로 끝이다. 세상 살아가는데 어려운 철학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내가 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과 기본 개념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그 기본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철학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왜 철학은 어렵게만 느껴지는건지...


철학사상이나 개념에 대한 이해를 한다는 것은 생각해보지도 못하지만 1페이지 시리즈의 문학책을 재미있게 읽은 기억이 있기에 1페이지 시리즈의 철학편 출간이 너무 반가웠다. 사실 새삼스럽게 굳이 어려운 글을 읽을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기도 하고 이 책을 통해 철학에 흥미를 느끼게 된다면 좀 더 세분화된 관심분야를 더 찾아 읽어보면 되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스스로도 미처 깨닫지 못하고 있던 것이었는데 가끔 읽으며 명상하기 좋다고 생각했던 에픽테토스 역시 그만의 철학사상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처음 읽기 시작할 때는 요일별로 따로 되어있는 글들이 쉽게 정리되지 않았는데 순차적으로 가는것을 포기하고 내가 알고 있는 철학자의 말이나 개념들을 먼저 읽기 시작하니 조금 더 흥미가 생기기 시작하고 한꼭지씩 더 읽어보게 된다. 역시 철학은 공부한다는 기분으로 파고드는 것이 아니라 삶으로 체험하며 따르는 것임을 새삼 깨닫는다. 말은 좀 거창하게 해 보지만 그래도 가장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건 철학 TMI이고 삶과 철학, 생각법은 진정 철학을 배우는 이유가 '어떻게 살아야하는가'에 대한 고민이고 실천에 있다는 것을 확신하게 해 준다. 철학사도 왠지 거창하게 들리지만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의 문제 역시 철학사이고 존재론에 대한 패러디는 철학이 재미있게 되기까지 한다. 우리에게 맞는 말로 표현해보자면, 나는 책을 읽는다. 고로 존재한다, 정도랄까.

읽기만 하면 내 것이 되는, 이라는 수식어는 사실 좀 과장이야! 라고 하게 되지만 이렇게 이해하기 쉽게 흥미로움을 끌어내는 이 책을 읽다보면 정말 철학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과 삶에 밀접해 있음을 깨닫는다. 

"삶에서 길을 잃을 때 철학이 길을 안내할 것이다"

그 길안내 지도로 이 책을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