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싹 집사는 처음이라서 - 씨앗부터 시작하는 가드닝 안내서
셀린느 지음, 김자연 옮김 / 이덴슬리벨 / 202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가드닝에 관심이 많지만 제대로 해본적은 없다. 사실 엊그제도 기분전환 겸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것이라며 다육이를 몇개 사가지고 왔지만 날마다 상태를 보면서 햇빛과 물을 조절해야하는 것에는 게으르다. 가드닝의 기본은 부지런함과 세심함인데 이런 내가 새싹부터 키우는 것을 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에 앞서 가드닝은 무작정 하고 싶어지니 정말 마음만 앞서는 것 같다. 

'새싹 집사는 처음이라서'는 이미 크고 있는 식물을 키우는 것과는 달리 씨앗에서 발아를 시키는 것부터 시작을 하는 것인데 책을 읽기 전에는 도저히 키울 자신이 없었는데 별 하나의 난이도는 어쩌면 내가 키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랄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까 몇년전에 비파를 먹다가 혹시나 싶어 비파씨를 마당에 묻어뒀는데 거기에서 싹이 올라왔고 그걸 무심코 그냥 뒀더니 지금은 내 키를 훌쩍 넘어 자라서 3년쯤 전부터 비파를 따 먹고 있는중이다. 사실 씨를 흙에 묻어두고 열매 수확을 한 것중에 단호박도 있고 깻잎은 오래된 들깨를 흙에 버리다시피한건데 그 다음해에 마당에 깻잎이 올라와 신기해하기도 했었다. 코딱지만한 마당에 그렇게 열매를 맺기도 했고 그런것에 재미들인 나는 수박씨도 묻어뒀었는데 덩굴줄기가 조금 뻗어가며 꽃을 피우기까지는 했지만 수박 열매는 보지 못했다. 

아무튼 내가 키웠다기보다는 스스로 자라난 과일, 채소 모두 씨앗에서 발아한 것이니 이제 본격적으로 이 책을 참고하면서 싹을 틔워보는 것이 그리 어렵지는 않겠다, 싶은 자신감도 생겨난다. 


의외로 아보카도도 난이도가 별 하나여서 시도해보고 싶어진다. 그러려면 신선한 아보카도를 구해야하는데 어쩌면 싹을 틔우는것보다 신선한 씨를 구하는 것이 더 높은 난이도가 될지도 모르겠다. 

책에는 난이도를 세 단계로 나눠 각각의 씨에서 발아하는 과정을 사진과 함께 세세한 설명이 담겨있어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씨앗부터 발아를 시도해보면 좋을 것 같다. 

"자연에는 정해진 답이 없으며 중요한 것은 기본 원칙을 잘 지키며 즐기는 것, 경험을 해 보면서 어떤 과일이 가장 빨리 새싹을 틔우는지 살펴보며 식물을 잘 돌봐 주는 것"(141)을 잊지 않는다면 가드너로서 훌륭한 첫걸음을 내딛을 수 있을 것이다. 

책에 실려있는 제철 과일 달력을 보니 요즘 집에서 먹고 있는 사과와 키위 씨를 발아시켜보고 싶어졌는데 둘 다 쉬운 단계는 아니어서 좀 더 쉬운 것으로 시작을 해볼까 싶다. 책을 보면 너무 쉬워보이는데 실제로는 어떨지, 은근히 기대되면서도 걱정이 되는데 자연에는 정해진 답이 없으니, 경험을 쌓아가는 과정으로 즐기면서 하다보면 킬러썸도 언젠가는 그린썸이 되지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