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버리다 -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가오 옌 그림, 김난주 옮김 / 비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석 즈음 무라카미 하루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친구중에 찐팬이 있는데 자신은 그의 소설 노르웨이 숲밖에 읽어보지 못해서 잘 모르겠다고. 그런데 그 소설에 드러난 하루키의 여성에 대한 인식은 도무지 용납이 안되어 그를 바라보는 내 견해는 어떤지 궁금하다고. 글쎄... 나 역시 하루키의 소설을 읽어보지 못해서 답을 해줄수가 없었다. 다만 나는 주로 하루키의 에세이를 읽었고, 그의 에세이는 햇살 좋은 날 뒹굴거리며 읽기에 딱 좋은, 그러다가 가끔 자세를 바로하고 곱씹어보게 되는 문장을 만나는 그런 글이라는 정도의 이야기를 해볼 수 있다. 


그리고 또다시 하루키의 에세이이다. 예상보다 훨씬 얄팍한 책두께에 슬쩍 당황스럽기는 했지만 단숨에 읽어야지, 라는 생각보다는 여유를 두고 깊게 읽어봐야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라는 부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생각이 없었는데 이 짧은 글에 담겨있는 이야기는 괜한 군더더기를 넣어 늘릴 필요가 없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사단장죽이기 이후 난징대학살과 일련의 역사에 대한 하루키의 소신 발언은 많이 회자되곤 했는데 아버지에 대한 글을 읽으니 그가 꽤 오랫동안 마음에 품고 있었던 것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아버지와의 소원한 관계라거나 교토 출신이라는 것에 대해 새삼스럽게 알게 되었고, 늘 인생을 즐기며 느긋하게 글을 쓴다는 느낌과는 달리 글 하나에도 인과관계를 깨달을 수 있는 - 그러니까 말 그대로 원래 하고 싶었던 말을 직설적으로 뱉어내는 것이 아니라 문학적 은유로 풀어내고 있다는 것이 하루키의 글을 읽게 하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도 새삼스럽게 하게 되었다. 물론 얼마전 하루키에 대한 글을 읽으며 그가 대충 흘려쓰는 것 같은 글이지만, 1년을 기한으로 매주 글 한편씩을 쓰기로 계약이 된다면 이미 1년동안 쓰게 될 글의 주제 50개를 미리 계획해놓는 하루키라는 것을 알게 되니 역시 대충,의 이미지 안에 정교한 글쓰기를 하고 있음이 그의 글에 담겨있는 느낌이 느낌에 그치는 것이 아님을 확신하게 되었다.


"역사는 과거의 것이 아니다. 역사는 의식의 안쪽에서 또는 무의식의 안쪽에서, 온기를 지니고 살아있는 피가 되어 흐르다 다음 세대로 옮겨가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여기에 쓰인 것은 개인적인 이야기인 동시에 우리가 사는 세계 전체를 구성하는 거대한 이야기의 일부이기도 하다. 아주 미소한 일부지만 그래도 한조각이라는 사실은 틀림없다"(작가후기)


하루키의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겠지만 그토록 꺼려하던 아버지의 징병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꺼낼 수 있었던 것과 또한 아버지의 삶에서 이어지는 역사의 한 조각, "광활한 대지를 향해 내리는 방대한 빗방울의, 이름없는 한 방울에 지나지 않는 빗물 한 방울의 역사이지만 그 한방울로서의 책무가 있으며 우리는 그걸 잊어서는 안된다"(93)는 것을 새겨보게 된다. 

나 자신이 하루키에 대한 취향을 타기 때문에 굳이 하루키의 글을 추천할바는 아니지만, 아무래도 이 에세이만큼은 추천하고 싶어진다.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인 것이 하루키를 추천할 때인것마냥.













덧. 하루키 팬을 위한 하드커버는 말릴 생각이 없다. 하지만 선택권이 많은 독자를 위해, 하루키지만, 페이퍼백으로 조금 저렴한 가격의 단행본 발행이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완전히 떨칠수는 없다. 아무리 내용이 훌륭하다 하더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