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괴물 백과 - 신화와 전설 속 110가지 괴물 이야기
류싱 지음, 이지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키르케라는 소설을 읽었는데 키르케는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마녀이다. 키르케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사이렌이나 스킬라, 키메라 같은 이름은 많이 들어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괴물'이라고 했을 때 떠올리게 되는 이미지와는 좀 거리가 있어보이지만 이 책에는 이 모두를 포함한 신화와 전설 속 110가지 괴물 이야기가 담겨있다.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괴물의 모습은 불가사의한 존재라기보다는 현실에 존재하는 형상에 상상이 더해져 기괴하거나 신비롭게 그려진다. 어쩌면 그래서 더 흥미롭고 관심을 갖게 되는것인지도 모르겠다.


이미 익숙한 괴물도 많지만 처음 들어보는 전혀 알지 못하는 괴물도 많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는데 특히 동서양의 연결고리가 되는 부분이나 신화 속에 등장하는 괴물이 지역의 문화와 관련이 있는 것을 읽다보면 실타래가 풀리는 것 같은 재미를 느낄수도 있다.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미노타우로스를 예로 든다면 미노타우로스는 소와 인간의 모습을 합쳐놓은 것이며 미노타우로스가 태어난 크레타섬은 고대에 황소숭배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해리포터로 인해 더 궁금해진 그리핀은 평생 짝을 한 마리만 가지며 교회에서 재혼을 반대하는 표지로 사용하기도 하며 사자와 독수리의 특징을 가져 비행동물과 육지동물의 특성을 모두 지닌것은 인간인 동시에 신인 예수 그리스도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는 이야기들은 재미있기도 하면서 한편으로는 이렇게 긍정적인 상징이니 해리포터도 그리핀도르가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하다보면 훨씬 더 재미있는 괴물 백과가 된다. 


이 책을 조금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것은 괴물의 겉모습에 대한 설명뿐만 아니라 전설이나 신화 속에 등장하는 에피소드를 같이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이상으로 좋았던 것은 괴물의 모습이 화가의 작품이나 고대의 유물, 벽화 혹은 책에 삽입된 삽화를 인용하여 삽입하고 있는 것이다. 

괴물의 탄생 배경, 상징적인 의미, 지역적 문화와의 연관성 등을 읽다보면 금세 책 한권을 읽을 수 있다. 처음엔 그저 흥미와 신기함 정도로 관심을 가졌는데 한번 읽고 넘겨버릴 수도 있지만 책장에 꽂아두고 신화나 전설과 관련된 책을 읽을 때 꺼내어 참고할만한 도서로 읽는다면 그것 역시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