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왕비'를 떠올리면 언뜻 떠오르는 인물이 없다. 잠시 멈칫,하고 떠올려보면 정말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해야 했던 명성왕후가 떠오르고 그 다음은 온갖 암투와 정치권력의 틈바구니에서 존재감보다는 정쟁의 빌미가 되는 원인제공자 정도로밖에 인식되지 않는 몇몇 왕비가 떠오를뿐 뚜렷하게 각인되는 왕비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 '왕비로 산다는 것'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해볼 수 있을까. 한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부분이라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을지 궁금하고 기대감에 책을 펼쳤는데 의외의 이야기들에 역사의 또 다른 단면을 보는 듯한 느낌이 새로웠다.


이 책은 조선의 역사 속에 존재했었던 왕비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왕비는 왕비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왕비가 되기도 하고 왕비가 되었다가도 금세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리기도 한다. 왕비가 되기 위해 갖은 계략을 꾸미다가 오히려 궁에서 쫓겨나기도 하고 신분상승으로 왕후의 자리에 오르기도 한다. 그런데 대부분 역사 속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그녀들의 모습은 궁 안에서 가문의 희생양이나 권력의 야욕에 빠져있거나 왕의 승은에 힘입은 신분상승, 그래서 왕의 마음에 들기 위한 암투, 시기와 질투에만 가득 찬 부정적이고 나약한 모습들 뿐이었다. 

그런 인식을 바꿔줄 수 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담겨있어서 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왕비로 산다는 것'을 읽어보는 것은 역사에 대한 흥미로움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으로써도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책을 읽기 전에도 그랬지만 역시 조선의 역사를 통틀어 가장 궁금하고 많이 알려진 명성황후에 대한 이야기가 궁금해 그 부분부터 펼쳐봤다. 고종의 실사사진과 초상화 자료는 많지만 그녀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가 하나도 없다는 것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안타까웠다. 사극의 단골 주제가 되는 왕비에 대해서는 인현왕후를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장희빈 혹은 드라마 동이를 떠올리는데 사실 이 책이 아니었다면 나는 그 존재감에 대해 전혀 몰랐을 것이다. 왕뿐만 아니라 왕비 역시 권력의 중심이 되지 못하면 궁에서 쫓겨나고 스트레스로 인한 병으로 일찍 사망하기도 하고 심지어 사약을 받기도 하며 거꾸로 죽음 이후에 왕비로 추대되기도 한다. 

역사적 시간의 흐름대로 순차적으로 읽어보는 것이 가장 이해하기 쉽지만 관심이 가는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그 부분을 찾아서 읽어볼수도 있는데 조선 왕조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더라도 '왕비'를 중점으로 역사적 사실을 읽어보는 것도 새로운 흥미로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