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 별이 만날 때
글렌디 벤더라 지음, 한원희 옮김 / 걷는나무 / 2020년 9월
평점 :
일시품절


숲과 별이 만날 때, 라는 제목에 이어 이 소설은 판타지로 분류되어 있다. 책을 다 읽고 난 후 이게 판타지일까 싶은 생각이 들었지만 비현실적인 엔딩의 모습은 판타지가 맞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런 소설을 읽어본지 오래되어서 그런것일까. 그냥 좋았다. 미스터리 요소가 담겨있어서 비밀을 풀어나가듯 이야기를 읽다보면 이 이야기의 끝이 어떻게 될지 궁금해지면서 자꾸만 모두의 행복을 바라게 된다. '숲과 별이 만날 때'라는 소설의 제목은 처음 시작부터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야기를 다 읽고난 후에는 왠지 사랑스러운 마음으로 그 말을 느껴보게 된다.


조류학 박사학위를 따려고 하는 조는 유리맷새의 생태 연구를 위해 키니 교수의 별장에 임시 머물고 있다. 그녀의 어머니는 암으로 돌아가셨고 그녀 역시 암으로 가슴을 절제하고 난소를 적출수술을 받고 남자친구와도 헤어지게 되었으며 암생존자로서 우울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어느 날 그녀 앞에 헤라예트라는 별에서 왔다는 얼사라는 소녀가 나타나고 얼사는 다섯가지의 기적을 보고나면 지구를 떠나 고향별로 돌아간다고 한다. 어린 꼬마인 얼사는 생각보다 훨씬 영리하여 그녀의 집을 찾아주려 하는 조의 물음에도 일관되게 외계에서 왔다고 주장하며 조의 곁을 떠나려 하지 않는데 그런 얼사를 씻겨주다가 얼사에게서 아동학대의 흔적을 발견한다. 

한편 조의 이웃에는 달걀장수인 게이브가 파킨스병을 앓고 있는 엄마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데 그에게는 광장공포증과 그에 더하여 가족의 비밀이 있는데...


어설프고 뭔가 불안정해 보이는 조와 얼사와 게이브가 함께 하면서 각자가 가진 상처와 아픔이 무엇인지 드러나기 시작하고 그 상처가 어떻게 치유되어 가는지를 바라보는 과정에서 판타지가 미스터리가 되며 그 미스터리가 다시 판타지가 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런데 그 이상으로 좋았던 것은 상처와 아픔을 가진 이들에게 위로가 되고, 소외되고 편견과 차별에 대한 인식을 깨우쳐주는 대화가 곳곳에 산재해있다는 것이었다. 

유방암으로 가슴을 절제해야했던 조에게 친구 태비는 병원에 어린 양을 데리고 들어와 젖병울 물려주면서 그깟 젖꼭지가 무슨 소용이냐며 우유를 줄 수 있는 훌륭한 방법이 있는데! 라는 말로 웃음과 위로를 주는데 이 짧은 에피소드에서 외형이 여성성의 전부는 아니라는 것을 단박에 이해해버리게 한다. 거기에 더해 좋은 부모의 기준이 뭔지에 대한 물음에서 동성애부부에 대한 언급도 단 한 줄 나오는데 나는 이런 것이 좋았다. 일상의 대화속에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편견없는 세상을 향한 손짓같은 느낌 말이다. 

오랜만에 읽은 느낌이 좋은 판타지 소설에 대한 소감은 "언어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고도의 수단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우린 여전히 소통하고 싶은 생각들은 뇌 속에 가둬 두고, 꿀꿀대는 거로만 표현하는 유인원에 불과하죠."(196) 라는 소설 속 게이브의 말을 떠올리며 이만 꿀꿀거려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