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죄의 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92
하야미 가즈마사 지음, 박승후 옮김 / 비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시 고민에 빠져있다. 스포일러를 포함해 책에 대한 느낌을 더 많이 이야기할 것인가, 약간 애매하기는 하지만 에둘러 표현하며 내 느낌을 대충 이야기할 것인가. 사실 내가 평론가도 아니고 글을 잘 쓰는 것도 아니니 실상 크게 중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감상을 적기에는 전자가 낫겠지만 책의 내용을 적나라하게 털어놓는 것은 나 자신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이라 망설이고 있는 것일뿐인지도 모르겠다.


무죄의 죄, 라는 제목에 이미 이 책은 스포일러를 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 결말에 대해 알 수 있다고 생각해서인지 오히려 전개과정에서의 에피소드에 집중하게 된다. 

뜻밖의 전개라거나 예상외의 범인이 등장하는 미스터리는 아니지만 이 모든 이야기에서 진실과 정의가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자꾸만 어긋나는 진실이 누군가에게는 구원처럼 느껴지겠지만 누군가는 망가져버리게 되며 그것을 아무도 책임지려 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 생각을 얹어보게 되는 것이다. 


무죄의 죄,는 다나카 유키노라는 이십대 여성의 삶을 그린 이야기이다. 변심해버린 애인을 스토킹하다 결국 결혼해서 쌍둥이 아이들까지 낳고 잘 살고 있는 전 애인의 집에 불을 질러 죄없는 아이들과 엄마를 죽게 한 다나카 유키노는 사형을 선고 받는다. 사형을 선고받고 항변을 하지도 않지만 사죄도 하지 않는 유키노의 모습은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녀에게는 도대체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이야기는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다나카 유키노의 어린 시절과 현재의 모습을 자세히 그려주고 있는데 그 과정에서 세상에 알려진 모습과 그 이면에 담겨있는 진실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과연 유키노가 사형을 당해 마땅한 것인지 되묻고 있다. 무죄의 죄,라는 것은 무관심이라는 것도 죄가 될 수 있지만 그와 똑같이 타인의 죄를 묵인해주는 것 역시 죄가 된다는 것을 떠올리게 하는데 과연 죄인은 누구이며 누구를 단죄할 수 있는지 역시 되묻게 된다.


사형제도 반대를 외치는 것이 아니지만 사형제도에 대한 생각을 묻게 하고, 죄가 아닌 사람을 용서한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또한 생각이 많아진다. 자신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 대한 맹목적인 헌신이 과연 사랑이 담긴 헌신인가, 에 대한 생각은 물론 더더욱. 

뻔한 과정이 이야기를 밋밋하게 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겨있는 의미를 생각해본다면 결코 밋밋할 수 없으며 묵직함이 담겨있는 무죄의 죄,는 죄와 무죄에 대해 되짚어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