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0 - 소유의 문법
최윤 외 지음 / 생각정거장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상 수상집을 찾아 읽는 편은 아닌데 어쩐지 요즘 한국 단편 소설에 꽂혔는지 계속 단편을 읽다보니 괜히 이효석 문학상 수상집도 읽어보게 된다. 읽는 것 까지는 좋은데 책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정리하려고 하니 쉽지가 않아 자꾸만 미루다 보니 책 내용을 떠올릴수가 없다. 한달도 아니고 겨우 열흘정도 전에 읽은 책인데 말이다. 

솔직히 말하자면 심사평은 건너뛰었다. 평론가가 되려는 생각도 없고 내 느낌을 정리하기 전에 평론을 읽어버리면 나의 생각을 잃어버릴수도 있기 때문이다. - 아니, 사실 전혀 읽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번 2021년도 이효석 문학상 대상 수상작인 '소유의 문법'은 왠지모를 그로테스크함의 느낌이 전해져 소설을 다 읽고난 후에도 이건 뭐지? 하는 느낌이 강했다. 


'소유의 문법'은 장애를 가진 아이로 인해 평범한 일상이 힘들어진 가족이 은사인 P교수의 배려로 S계곡에 있는 산골마을의 그의 집에 살게 되면서 경험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자폐로 짐작되는 동아는 사춘기가 되어가면서 시간을 가리지 않고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고 그로인해 이웃의 민원이 많아지며 동아와 함께 지낼만한 곳을 찾던 '나'는 P교수의 제안을 받아들여 은사의 산장에 들어가 살기 시작한다. '나'의 시선으로 바라 본 계곡 마을의 모습은 평온해보이는 산골마을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속내를 보여준다. 한동네에 사는 이웃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단지 그들의 필요에 의해서였을뿐이고 그들의 계획이 어긋나게 되자 그 이후로는 온전히 소외된 거주자가 되었을 뿐인 '나'의 모습은 놀라우면서도 놀랍지 않았다. 

어느날 동아의 고함소리가 계속되고 계곡을 벗어나려는 몸부림에 그곳을 떠나게 되는데 그날의 폭우로 계곡의 집은 무너져내렸고 모든 것이 사라져버렸다.


욕심이 없는 듯 소유에 대한 관심이 없어보이지만 결코 그 모든 것을 포기하지는 않는 집주인 P교수의 존재도 그렇지만 그의 집에 살고 있으며 그 소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장 대니얼의 존재가 상징적인 듯 하면서도 내 주위에 있는 누군가를 떠올리게 하는 것에 흠칫 하게 되어 그로테스크함을 느껴버리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어쩌면 당연하게도 소유하고자 애썼던 모든 것은 사라져버렸다,라는 것으로 '소유'에 대해 생각하게 되고 '소유의 문법'이 말하려고 한 것들에 대해 소설의 흐름을 따라 되새겨보게 된다. 

소유의 문법에 동아는 어떤 규칙을 보여주고 있는 것일까... 깊이 생각해보고 싶어지지만 그냥 그대로 받아들여보기로 한다. 

"어엿한 숙녀가 된 동아가 고함으로 우주에 전언을 보낼 때의 모습에는 변함이 없다. 그녀 편에서는 절실하고 보는 우리는 애달프며 그 느낌은 늙을 줄을 모른다"(37)


21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에는 대상을 받은 최윤 작가의 자선작을 포함하여 수상작들과 기수상자 장은진 작가의 자선작도 수록되어 있다. 수상작가 소감, 정홍수 평론가의 작품론, 최윤작가의 인터뷰도 포함되어 있다. 개인적으로는 김금희 작가의 기괴의 탄생도 좋았는데 역시 단편이 어렵다고 해도 그 문화의 켜를 이해할 수 있는 한국단편소설은 그 여운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아 더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