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을 떠나는 책들을 위하여 - 2020년 제16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오수완 지음 / 나무옆의자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호펜타운 지역의 도서관이 재정난을 이유로 폐관하게 되면서 도서관에 기증된 책들을 정리하다가 유일하게 연락도 되지 않고 찾아가지도 않는 VK라는 기증자의 책들을 정리한 카탈로그,라는 형태를 띄고 있다. 에세이이거나 역사책 같은 제목의 이 책은 세계문학상을 수상한 작품, 소설책이다. 이중구조처럼 호펜타운 도서관에 사서로 일하는 내가 도서관에서 일어나는 일과 도서관에서 만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와 VK가 기증한 도서의 카탈로그를 정리한, 가상의 세계에서 가상의 책들을 정리한 내용이 담겨있다.

 

뭔가 흥미로운 전개와 세상에서 유일무이한 희귀본을 소장하는 도서관에 대한 이야기인데다 책에 담겨있는 도서의 표지 일러스트를 작가가 직접 그렸다는 것에서 뭔가 새롭고 독특한 이야기를 기대하게 된다. 그런데 시작부분에서 뭔가 내가 알고 있는 내용을 떠올리게 하는데 도무지 그 내용이 담긴 책이 무엇인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분명 외국의 단편 소설이었는데 말이다. 책을 찾아보다 포기하고 일단 이 책을 읽었는데 다행히 작가의 말에서 가상의 책들의 카탈로그의 아이디어는 보르헤스에게서, 출간되지 못한 원고를 수서하는 도서관이라는 배경은 브라우티건의 임신중절에서 빌려왔다고 밝히고 있다. 내 기억으로는 레나 문의 등장도 브라우티건의 소설과 같기는 한데;;;

 

아무튼 세계에서 유일하게 존재하는 한 권의 도서라는 발상과 그 책들의 카달로그를 담아 냈다는 것에서 많은 기대를 했는데 실상 카달로그의 내용은 기대만큼 정교하지 않아서 그저 설명만으로는 흥미로움이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카달로그가 쌓여가면서 가상의 책 카달로그가 단지 상상으로만 나온 것이라기보다는 이 세상의 수많은 책과 작가들의 이야기가 비유처럼 담겨있기도 하다는 느낌이 들어 새삼 다시 뒤적여보는 카달로그가 있기도 했다. 그렇다고 작가의 지적인 유희(?)를 따라갈 수 있다는 말은 아니다. 그냥 좀 애매한 느낌이라서 아직은 이 책을 충분히 즐기며 읽을 시기는 아니라는 생각만 했을뿐.

 

다른 여러이야기 중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느낀건 '시체를 처리하는 방법:미스터리 작가를 위한 안내서'의 내용인데 시체를 잘라서.... 라는 시체처리 과정 설명을 읽다보면 기리노 나쓰오의 아웃이 떠올랐다. 장르소설을 읽으며 처음으로 접해봤던 시체처리 과정이 나온 소설이었기 때문이다.

문학평론가 최원식은 '이 소설은 한 편의 긴 농담이다'라고 했는데, 사실 아주 많은 것을 알면 그 농담이 재미있어서 킬킬거리게 될 것 같지만 많은 걸 알지 못하는 나로서는 일단 한번 훑어보기는 했으니 더 많은 현실의 책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커지고 있을뿐이다. 밤과 책을 함께 주신 신의 아이러니,와 비슷한 느낌이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