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빵과 진저브레드 - 소설과 음식 그리고 번역 이야기
김지현 지음, 최연호 감수 / 비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책의 제목을 들을 때는 응? 하는 느낌이었다. 생강빵이 진저브레드 아니었나? 그런데 저자가 번역가네? 그리고 부제가 '소설과 음식 그리고 번역 이야기'인 것이다. 번역가의 산문집이어서 제목이 이런가보다, 라는 생각을 가볍게 했다. 아니, 책을 읽기 전에는 말 그대로 번역가 김지현의 소소한 일상 이야기인가보다 생각하면서 가벼운 마음으로 책을 펼쳤다.

책을 펼치기전에는 그저 가볍기만한 마음이었는데, 실상 이 책은 가볍다기 보다는 산뜻하면서 내가 처음 맛보는 신선하고 맛있는 음식의 느낌이다.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가 한가득이라면 그런 누군가에게는 가볍게 즐기는 디저트의 느낌일지도 모르겠지만 내게는 너무 잘 만든 코스 요리 한 상을 받은 느낌이다.

 

산문집의 구성 자체가 코스 요리처럼 빵과 수프 먼저 나오고 주요리와 디저트, 그리고 부엌과 관련있는 찬장, 식료품 저장실 스토브, 벽난로, 포치에 대한 이야기도 담겨있다.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우리말만큼 세분화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영어 단어를 익히면서 좀 더 근접한 표현이 뭔지 알고 싶어 사전을 뒤적이며 유의어를 찾아보거나 아주 간단한 영영사전을 보기도 했었는데 단어에 대응되는 적확한 우리말 표현을 기본적으로 알고 싶었다. 그런데 처음의 의욕과는 달리 지금 영어는 못하지만 그 의미에 더해 말이 주는 어감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것이 바로 저자의 표현처럼 생강빵과 진저브레드가 같은 말인 듯 다른 말이라는 것이 아닐까. 

 

"문학 작품들 속 낯선 음식들의 '실체'를 밝히는 것 보다 문학속에만 존재하는 문학적 음식들에 대해, 그것이 한국어로 옮겨져 우리에게 도착했을 때의 '맛'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었다" 라고 한다. 단추 수프에 담긴 의미를 문화적으로 풀이해주기도 하고 거북 요리나 바닷가재요리에 담겨있는 지역에 따른 문화적 차이도 이야기하며 어린시절 읽었던 동화의 의미를 다시 새겨보게 하기도 한다. 실제 이 책을 읽고난 후 작은 아씨들이나 톰 소여의 모험 등 다시 읽어보고 싶은 책이 넘쳐났다. 그뿐인가. 요즘 이국의 독특한 요리도 왠만하면 다 맛볼 수 있겠지만 줄리와 늑대에 등장하는 순록 스튜는 이누이트들조차도 식료품점에서 구한 식품으로 음식을 요리해 먹는 현실과 지구 온난화로 인한 지구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문학적 상상력이 없이는 절대 먹어 볼 수 없는 음식이라는 이야기들을 읽다보면 동화 속 음식에 얽힌 번역 이야기, 인 것 같지만 왠만한 인문학적 에세이를 능가하는 깊이를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어 좋다.

 

콘비프에서 콘을 옥수수라고만 생각하면 도대체 어떤 음식이지? 하게 되는데 여기서 콘,은 소금에 절였다는 뜻임을 알고 나면 금세 어떤 음식인지 이해할 수 있다. 순우리말임에도 이게 뭘까 궁금해지는 월귤은 오히려 영어표현인 블루베리가 더 친숙하다. 그런데 우리말로 월귤이라고 번역되는 베리는 그 종류가 다양하여 실제 원문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베리는 무엇인가 궁금해지기도 한고.

이처럼 수많은 이야기들이 다 흥미로워 한 권의 책이 금세 끝나버리는 것이 아쉽다. 또 다른 이야기로 이어지는 김지현 산문집 두번째가 기다려질만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