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만나는 산책길
공서연.한민숙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전은 서울지역에 있는 옛 건물이나 골목길의 원형을 찾아 산책하듯이 역사를 살펴보는 그런 책인 줄 알았다.

어릴때는 몰랐지만 나이를 먹고나니 옛거리의 멋스러움이나 원도심의 역사 이야기가 선조의 역사일뿐만 아니라 나 자신의 어린 시절 추억과도 맞물려 떠오르는 추억이 되어가고 있다. 그런 느낌과 비슷하게 이 역사산책길을 걸을 수 있으려나..라는 조금은 가벼운 기대감으로 책을 펼쳤는데 뜻밖에 조금 더 진중하고 깊이있는 역사산책길이 담겨있는 책이었다.

 

서울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멋진 도시,라는 말에 나 역시 외국인들처럼 공감한다. 내가 사는 동네에서는 볼 수 없는 궁궐에 근현대의 역사가 담겨있는 건축물들만 떠올려봐도 서울은 관광지가 되는 것이다. 사실 내가 다녔던 성당건물도 그대로 있다면 백년이 넘겠지만 너무 노후되고 벽에 금이가 리모델링이 아닌 신축을 해야했고, 어느 건축가의 말처럼 건축사에 있어 기념비가 될만한 건물이었는데도 공무원들의 무지함 혹은 무심함으로 멋없는 주차공간을 만드느라 무너뜨리고 말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외적인 조건만으로도 서울은 볼거리가 한가득이다.

 

많은 사람들이 제주의 올레길을 걷고 그에 대한 로망을 꿈꿔보듯 나는 서울의 둘레길을 걸어보고 싶은 로망이 있다. 산성을 휘돌아 둘레길을 거르며 서울 도심의 거리를 바라보고 싶다는 소망은 언젠가 이뤄볼 수 있겠지. 작년에 좀 오랜기간 서울에 머무르고 지낼 때 하루 시간을 내어 버스 타고 수원 화성에 갔었다. 아무런 정보, 지식 없이 무작정 수원 화성 근처에 내려 성곽이 보이는 곳을 따라 걸어가다가 돌고돌아 정문으로 입성하고 이곳저곳을 둘러보다 나왔었는데 이 책을 읽고 다시 찾아가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때는 그저 성벽이 이렇게 낮은데 왜 전쟁을 할 때 성벽 하나를 무너뜨리지 못했을까, 에 대한 의문이 풀렸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화성에 간 보람이 있다고 느꼈었는데 말이다. 성벽은 높은 지대에 쌓았고 저 밑에서부터 적이 올라오고 있을 때 인해전술만 아니라면 충분히 막아낼 수 있겠구나, 싶었다는 뜻이다. 몇백년전이라면.

 

이전에는 외양만 보고 감탄을 하거나 말로만 전해들었던 이야기들을 구체적인 역사 이야기와 맞물려 그 안을 들여다보게 해주니 더 좋았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서대문형무소와 남영동 대공분실에 가서 우리의 현대사도 직시해보고 싶어졌다.

책에는 서울지역뿐만 아니라 경기도, 강화도에 이르기까지 조선왕조의 역사를 돌이켜볼 수 있게 해 주고 사람사는 모습에서는 전주의 재래시장, 국제시장에 대한 언급도 하고 있다. 사실 이렇게까지 은근슬쩍 확장하지 않고 오롯이 지역적으로 서울과 서울의 근교에 해당하는 지역에 대한 이야기만 집중적으로 했다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다.

아무튼 그래도 서울에 집중된 역사 산책길 책인것은 확실하니, 서울에 가게 된다면 이 책을 들고 가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회적 거리두기, 여행 자제의 시기가 지나면 시간을 내어 가보고 싶은 곳이 많아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