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 기도하고 먹어라 - 미친 듯이 웃긴 인도 요리 탐방기
마이클 부스 지음, 김현수 옮김 / 글항아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친듯이 웃긴 인도 요리 탐방기, 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 책은 그 누군가처럼 미친듯이 웃기지는 않다. 미친듯이 웃기지는 않지만 은근히 웃기면서 또 은근히 생각해볼거리를 던져넣는 마이클 부스의 이야기들이 그래서 좋다, 나는.

아니, 사실 마이클 부스의 이전 여행에세이는 좀 냉소적인 느낌이 더 강했어서 과연 인도 여행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쏟아져나올까 기대반 걱정반이었다. 그런데 예상보다 더 재미있다. 결코 냉소적이지도 않고 스스로에 대해 자조적이지도 않은 깔끔한 유머를 쏟아내주고 있다. 말로 설명하기는 힘들지만 글의 흐름속에 담겨있는 마이클 부스의 이야기에 집중을 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키득거리며 글을 읽고 있게 된다.

 

늘 식도락을 찾아 혼자 여행을 떠나곤 했던 마이클 부스가 중년의 나이가 되어 가족과 함께 인도를 여행하게 된다. 인도의 맛있는 음식만을 찾아 여행 계획을 짜고 싶지만 그의 아내 리센은 그걸 용납하지 않는다. 처음엔 그러한 이유로 먹고 기도하고 먹어라,라는 제목이 나온 것이라 생각했는데 뜻밖에 정말 '기도'의 느낌으로 읽게 되는 부분이 있어 좀 새롭기는 했다. 아무튼 그 이전에 마이클 부스의 좌충우돌 인도 여행기는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인도의 문화를 그대로 느껴볼 수 있게 하는 힘이 있다. 단적으로 예를들자면, 아이들의 적응력과 무감함에 놀랍다고 말하지만, 인도의 거리에서 보게 되는 가난함의 모습과 그에 대조되는 호텔의 화려함을 은근슬쩍 넣는 것은 내가 이미 인도에 대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다시 생각해보게 하고 있기도 하다. 기차를 타고 갈때도 자리 예매의 부당함 혹은 불편함을 언급하고 있지만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인도의 부유층에 속하는 몇 안되는 이들은 결혼식 참석만을 위해 돈과 시간을 쓰는 걸 마다하지 않는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혹시 그냥 웃어보자고 하는 이야기를 나만 비껴서 보고 있는 것일까?

 

여행의 초반에 그저 맛있는 음식만을 찾아 떠날 것처럼 말하고 있는 그의 너스레(?)와는 달리 인도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파키스탄과의 분리 역사에 대해 역사가 아니라 그가 만난 식당 주인 말호트라씨와의 대화를 통해 그 슬픈 역사를 전해주고 있다. 그리고 그가 갖는 긍정의 마음과 그로 인한 희망에 대해서도.

 

마이클 부스의 유머러스한 인도여행을 재미있게 읽다가 조금은 진지하게 이어나가고 있는 요가수련기는 뜻밖에도 절제와 참선, 명상을 떠올리게 하고 실제로 마이클 부스도 자기계발서를 읽고 실행하고 있는 듯한 느낌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이것 또한 인도를 여행하며 느끼고 배울 수 있는 가장 큰 요소의 하나가 아닌가. 거기에 더해 정말 묘하게도 마이클 부스 역시 인도여행을 다녀 온 이들이 얻게 되는 깨달음에 대해 이야기해주고 있다.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꼭 인도로 여행을 갈 필요는 없다(심지어 바람직한 일도 아니라고 본다). 삶이 엉망이 된 외국인들이 잔뜩 몰려들어 보태지 않아도 인도에는 이미 그 나라만의 문제가 차고 넘친다. 하지만 인도가 우리를 도울 수 있는 한가지가 있다면 시야를 넓혀준다는 거다.  새스넘 상헤라가 [상투를 튼 소년]에 썼듯이 '인도에서는 창밖만 한번 내다봐도 내가 가진 것에 감사하게 된다'"(438-4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