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도자 이야기 - 유네스코 세계 공예 도시 이천 도자의 어제와 오늘
조용준 지음 / 도도(도서출판)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자기는 언제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을까? 아니, 실용적으로 그릇을 쓰기 시작한 역사는 오래되었을텐데 가만 생각해보면 학창시절 신석기 시대의 빗살무늬 토기를 배우면서 이미 신석기인들이 토기의 미적 감각까지 활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지 않은가. 우리가 사용하는 그릇의 원형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렇겠지만 지금 저자는 미적 예술품으로서의 최고봉에 이르는 백자와 청자의 기원과 현대 도자기의 근원이 되는 이천 도자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실 저자는 도자의 역사와 관련하여 일본과 유럽을 여행하며 본격적인 도자기 이야기를 한 이력이 있고 그 중 몇편의 책은 읽었기에 이번 우리의 도자 이야기는 그 종결편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특히나 우리나라에서 납치되어간 장인들이 우리 도자의 맥을 일본에서 이어가고 오히려 일본에서 더 발전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읽고 있으려니 우리의 이야기가 더 궁금하기도 했고.

 

이 책은 칠기- 쉽게 말하자면 자기와 옹기의 중간쯤에 들어갈 수 있는 그릇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이천의 도자기 시대가 열리게 되었고 1,2세대 명장들과 그 뒤를 이어 명맥을 이어가는 장인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현대에 이르는 칠기가마와 장인들의 이야기를 하기 전에 우리나라 자기의 역사를 짧에 언급하고 있기는 한다.

임진왜란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미 우리나라는 수많은 것을 수탈당했는데 도자기 역시 예외가 아니며 그 당시에는 완성된 자기만이 아니라 기술을 가진 도공들이 노예처럼 끌려가고 납치 당해 일본에서 정착을 하며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익히 알고 있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수탈은 노골적으로 가속되었고 전문적인 자기기술은 일본인들이 독점을 하면서 나중에는 오히려 조선이 일본에서 도기를 입을 해 쓰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놀랍기만 하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에 분개만 할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가장 잘 보존된 가마터를 지켜내어 가마의 역사와 도자의 흔적을 찾아도 쉽지않을텐데 현실은 오히려 그런 가마터를 무너뜨려 스키장을 만드는 것이라니.

물론 저자는 그런 부분만이 아니라 이천 도자기 축제를 이야기하며 우리의 도자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도 제시하고 있다. 수요를 기다리는 소극적이고 정적인 방법을 벗어나 적극적인 마케팅을 할 필요가 있으며 청자와 백자 역시 과거 양식이 아닌 현대적 미학의 다양한 실험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그런 노력의 이면에는 국내에서의 소비 증가에 대한 필요성도 언급하고 있다. 고급스러운 도자기만을 연상시킬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도기의 수요가 늘어나고 공급이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더욱 발전된 자기의 생산이 이어질 것이라는 말에 수긍하지 않을 수 없다. 식당에서 물을 마시더라도 플라스틱 컵보다는 못생기고 이가빠져도 도기컵으로 마시는 기분이 더 좋았지 않은가. 나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