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지도 - <페러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네 번째 이야기 페러그린 시리즈 4
랜섬 릭스 지음, 변용란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의 지도는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로 시작된 시리즈의 또 다른 새로운 이야기다.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을지는 생각해보지 않고 무작정 덤벼들어 읽기 시작했는데 이게 좀 무리였나보다. 사실 엑스맨 시리즈를 생각하면서 전편을 보지 않아도 내용을 이해하는데 큰 불편함은 없었다는 생각에 무작정 중간과정을 읽지 않아도 새로운 이야기의 시작이니 이야기의 흐름을 읽는데 큰 불편은 없을 줄 알았다. 하지만 내가 읽었던 것은 겨우 페러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에 대한 시작점일뿐이었고 그마저도 그래픽노블로 첫번째 이야기만을 읽은 것이어서 흐름을 무리없이 따라가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그래도 제이콥 포트먼의 모험과 활약상이 있었고 다시 현실의 세계로 돌아왔는데 '시간의 지도'는 바로 그 시점에서 이야기가 시작되고 있다는 것은 알 수 있다. 사실 시리즈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각각의 에피소드로 나뉘어 있는 줄 알았는데 하나의 연결된 이야기가 시리즈이며 시간의 지도 역시 3부작으로 구성되어 그 도입부라는 것도 책을 다 읽고 나서야 새삼 깨달았다. 책표지에 3부작,이라고 되어있는데도 사전정보없이 글을 읽기 시작한 내 탓일뿐이니.

 

아무튼 시간의 지도 3부작은 현실세계로 돌아온 제이콥의 집에서 시작된다. 부모님이 계신 곳으로 돌아왔지만 제이콥은 정신병원에 갇힐 신세가 되어버린다.그런 제이콥의 가족 앞에 페러그린과 제이콥의 친구들이 등장하고 현실과 루프를 통한 이상한 세계를 넘나들며 그들의 또 다른 모험을 예고하고 있다.

할아버지의 집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할로우 사냥꾼인 할아버지의 친구를 찾아나섰는데 그 과정에서 뜻밖의 진실을 마주하게 되고 그 진실의 의미를 알려줄 수 있는 H는 ...  이상한 세계를 해방시켜 줄 예언서의 인물인 노어와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사냥꾼 V를 만나게 해 줘야 하나고 하는데... 시간의 지도 첫번째 이야기는 여기서 끝이 난다.

그래서 거대한 바람속에서 살고 있는 V를 찾아 떠나게 되는, 시간의 지도 3부작의 두번째 이야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상한 세계에 사는 이상한 아이들의 이야기지만 20세기 미국의 현실 세계에 적응해보려고 하는 아이들의 모습에서 10대 사춘기의 반항이라든가 제이콥과 엠마의 사이에도 제이콥의 할아버지 에이브에 대한 기억들이 끼어들면서 묘하게 얽히는듯한 감정 묘사는 또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를 읽을 수 있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가장 크게 다가오는 관점은 그런것이다. 제이콥이 아버지와 대화를 나누며 '선택'에 대한 대답으로 '공존'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에서 이상한 세계와 이상한 아이들이 우리와 구별되거나 차별되어지는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나는 미국 남부에서 자랐다. 기묘한열대 기후속에, 국내 다른 지역에서 온 이주민들로 가득한 곳이었어도, 여전히 남부였다. 하지만 추악한 과거를 제대로 직면해본적은 없었다. 억지로 접할 기회도 전혀 없었다. 나는 주로 백인들로 가득한부유한 도시에 사는 부유한 백인 아이였다. 그점을 제대로 생각해본 적도 없고, 나와 피부색이 다른 사람이 단순히 우리주를 통과해 자동차 여행을 하는 게 어떤 기분일지 상상해본 적도 없다는 사실이 수치스러웠다. 과거에만 문제가 있는 게 아니었다. 짐 크로(19세기부터 가난과 어리석음을 특징으로 하는 미국 흑인의 대명사로 쓰인 표현으로, 남북전쟁 후 남부 백인들은 노예 해방을 무효화하기 위해 인종차별법을 제정했고, 이 법률을 짐 크로법‘이라 부름 옮긴이)가 죽었다고 해서 인종차별주의도 사라졌다는 의미는 아니었다. 젠장, 미국의 일부 지역에선 아직도 그런 차별법이 공식적으로 남아 있었다."(3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