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로는 충분하지 않다 - 트럼프의 충격 정치에 저항하고, 우리가 원하는 세상을 얻는 법
나오미 클라인 지음, 이순희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오래된 상처를 다시 헤집어 열기 위해서가 아니라, 뮌가 배울게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서 깊이 숨을 들이 마시고 과거를 돌이켜 봐야 한다. 우리를 이곳으로 이끌어 온 요인들을 정직하게 짚어내지 못하면, 우리는 지금 걷고 있는 이 길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으니 말이다. 126

 

처음 책을 읽었을 때와 지금의 느낌이 너무 다르게 느껴지고 있다. 솔직히 말하다면 한달쯤 전 책을 읽었고, 새삼 이 책의 내용을 떠올리려고 하니 기억나는 것이 없다. 그동안 개인적으로 아파서 정신없는 시간이 지나기도 했지만 북미 정상 회담으로 인해 세계정세가 바뀌려하고있고 책의 제목인 NO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의미가 그 전과는 또 사뭇 다르게 느껴지기도해서 생각의 정리가 쉽지는 않다. 

'트럼프의 충격정치에 저항하고 우리가 원하는 세상을 얻는 법'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실상 북미 정상 회담이 성사된 여러 요인 가운데 하나가 트럼프 자신의 위대한 업적을 만들기 위해서라는 말에도 딱히 부정을 할수가 없다. 국가를 기업경영하듯 멋대로 한다는 평가도 들은 듯 한데 - 사실 그런측면에서는 이미 우리의 경제를 말아먹고 수억의 비자금 조성을 하며 차명으로 기업소유를 한 우리의 누군가가 더 적나라한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 어쨌거나 정치에 깊은 관심을 갖지 못한 나로서는 조금씩 다 뜬구름처럼 내가 보고 있고 듣고 있는 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알수가 없을뿐이어서 좀 답답하다.

그러한것을 깨보려고 이 책을 집어들었지만 결론적으로 책읽기는 쉽지만 여전히 정치적인 승리- 승리라는 표현이 좀 추상적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정치적으로 좀 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되는 결론을 얻기 위해 지금의 우리가 해야하는 것에 대해서 뭔가 확실한 답이 생겨나지는 않는다. 이것은 책의 내용이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 스스로가 이런 활동들과는 거리가 있다는 선입견이 더 큰 이유일 것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발목을 잡는 과거, 그릇된 관행들이 우리의 눈과 귀를 막는다.. 라는 발언을 들으며 생각의 전환과 새로운 도약이라는 것은 흔들리지 않는 기본원칙을 세우고 내가 원하는 세상을 위해 무조건 N0라고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뛰어넘는 구체적인 실행방법을 모색해야한다는 것으로 들렸다. 원뜻과 상관없는 지나친 비약일지는 모르겠지만 문득 이 책이 떠오르면서 신자유주의로 흘러가는 세계의 흐름을 바꿔나가기 위해서는 나 자신부터 바꿔나가야한다는 저자의 말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