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조너선 사프란 포어 지음, 송은주 옮김 / 민음사 / 2006년 8월
장바구니담기


표지가, 맘에 들었다.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이라는 제목만큼이나
엄부랑지게 맘에 드는 표지 디자인.

이야기의 시작은 그것이었다. 우연찮게 발견한 열쇠,는 어느 자물쇠에 맞는 것인가.
그것을 찾아가는 오스카의 여정과 할아버지의 이야기가 교차되고 중복되면서 이야기는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는 듯 하지만, 실질적으로 우리는 한걸음씩 앞으로 걸어가고 있는 것이다.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은 듯 과거의 어느 시점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오스카가 찾는 '블랙'
블랙이 블랙을 썼다, 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검정 펜을 들고 '블랙'이라고 쓴 것은 이름일까, 검정일까.

책의 앞머리에 나온 이 사진때문에 한동안 나는 책 속의 사진을 오해했다. 나중에 그 사진의 실체를 알고 그냥 아무 생각없이 '헤~' 하며 책을 쳐다봤던 내가 너무 비인간적으로 느껴져버렸었다.
새, 는 비둘기,라 생각했지만 평화,가 아닌 '전.쟁'으로 남아버렸다.

나를 용서하고.
그에게 평화의 안식을.
우리에게 평화가 있기를.

행복,한가요?

듣고 있습니까?

말을 잃어버렸나요?
예,와 아니오,를 이야기해주시길.

마지막 장,까지 책을 다 읽고 이 사진을 다 보고 나면
마음안에 응어리진 무엇인가가 어느새 조금씩 풀려있는 것을 느끼게 된다.
마음껏 울어버리고 나면 담담해지는 마음처럼.


모두가 마음껏 웃을 수 있는지, 는 아직 의문이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랑비 2006-12-03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가 있는 곳에 왜 나는 없는가. "노동하는 섹슈얼리티"라는 책에 "왜 우리는 여기 있고 그들은 저편에 있는가"라든가 하는 문장이 있었지요. "나"는 아주 쉽게 타자를 배제해버려요. 이 책, 나중에 꼭 읽겠습니다.

chika 2006-12-03 2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