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불교 이해
각묵 지음 / 초기불전연구원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불교나 대승불교 경전 또는 명상서들을 접해본 분들 중 일부 몇몇 분들은 사람은 있는 그대로가 부처라며 부처 아닌 이가 없다는 말씀들을 한다. 뭐, '진정한 눈으로 바라보자면' 진실일 것이다. 허나 그것은 불가에서도 진제라하는 것으로 진실상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럼에도 무모한 일반화일 것이다.


깨달은 이의 눈에는 IS처럼 사람의 목을 산채로 썰어 죽이는 자들, 몇 십명에서 몇 백명의 사람들을 한번에 집단학살하는 자들, 서너살도 채 되어보이지 않는 여아의 목을 잘라 죽이는 자들, 또 이슬람근본주의를 외치며 살아있는 여성의 코를 베어버리고 죄인이라며 돌로 여성을 쳐죽이고 이교도와 사랑에 빠졌다며 잡아죽이고 강간 피해 여성은 가문의 명예를 더럽혔다며 죽여버리고, 10대 여자아이들을 잡아다 맘대로 유린하는 자들 마저... 그외의 지역 사람들이라면 미취학 아동을 찾아다니며 성적 욕구를 배설하거나 자신의 이상욕구를 충족 시키기 위해 연쇄살인을 거듭하는 자들까지도 부처로 보일지는 모르겠다.

허나 그런 초월적인 시각이 아닌 불가에서 속제라 이르는 보편적인 시각에서 보자. 그들이 어찌 있는 그대로 부처인가? butcher라면 또 모르겠지만...


있는 그대로가 부처라면 45년에 이르는 석가모니부처님의 가르침들이 다 무슨 소용이었겠나? 어차피 다들 부처인데 그냥 열반에 드시면 될 것을 쓸데없는 시간낭비를 하신 것이란 말인가?


굳이 유식이나 아비담마가 아니더라도 인간이 '진정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거쳐야 할 과정이 필요할 것을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 대한 안내의 중요성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것이, 붓다께서 깨달음에 이르신 후 가르침의 초반을 온통 그러한 과정에 대한 안내를 하셨기 때문이다.


붓다께서는 자신의 깨달음의 내용이랄 수 있는 것에 대해 개념적 정보들을 가르침으로 펼치시기도 하셨다. 허나 무엇보다도 경험과 체득을 중시하셨던 붓다께서는 그러한 깨달음의 내용에 대한 담론이 있기전 오랜기간 동안, 가르침을 청하는 이들에게 그러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체계를 전하셨다. 인간과 인간이 지각하는 대상들에 대한 정의가 이론적으로 선행한 것이 교학이 되었으며 그러한 이론적 바탕 위에 자신을 변화시키는 실천적 방법이 수행으로 정립 되었다. 이 교학과 수행이라는 것을 통해 우리가 변화해야 비로소 우리의 진면목으로 살아갈 수 있는 것일 것이다.


대도무문이란 말이 있듯, 깨달음을 얻는 정해진 체계가 있으니 그것은 오로지 초기불교의 가르침뿐이다라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 숱한 불교 법문 중 이해력과 성향이 각기 다른 누구에게나 공통적으로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은 초기불교의 가르침이라 여겨진다.


<초기불교이해>는 대중을 깨달음의 실제 경험과 체득으로 이끌기 위해 붓다께서 설하신 명료한 체계를 정리해준 서書이다. 교학과 수행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제시해주고 있다. 

불교에 처음 다가서려는 분들께도 불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는 비불교도 분들께도 유익한 시간을 갖게 해줄 서書라고 권해드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하시 사야도의 위빳사나 수행방법론 세트 - 전2권
마하시 사야도우 지음, 비구 일창 담마간다 옮김 / 이솔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경론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이는 4장과 5장만 읽어도 된다고 한다. 간단한 수행법에 경과 론과 주석이 더해지니 이토론 장구한 논서가 되고야 마는구나 싶었다. 불교를 집중 연구하는 분이 아니라면 다른 수행서를 찾아도 좋을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
일레인 페이절스 지음, 하연희 옮김 / 루비박스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서술방식은 영지적 가르침에 대한 해석이나 정의를 정언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 ‘기성대중종교로서의 기독교’와 ‘영지주의’를 대조함으로서 그 차이와 영지주의 가르침의 특성에 조금씩 다가서도록 해줍니다.


 그렇기에 상투적인 인용이지만 (기성기독교와 영지주의의 대립을 소재로 전개되는) ‘서술방식’이란 ‘손가락’ 때문에 (진정한 주제인) ‘영지gnosis’라는 ‘달’을 보지 못하고 책장을 덮는 분들은 없으실 것입니다.


 영지주의에 문외한이었던 저로서도 하나님에 대한 영지주의의 정의, 예수의 부활에 대한 영지적 접근, 영지주의에서 바라보는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 영지 획득의 사명과 목적에 대한 그들의 인식등을 엿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생뚱맞은 말이지만 영지주의와 불교(선불교,유식학,중관학파,밀교) 가르침과의 근사성 近似性이라면 누군가가 둘다 같은 원류의 교조를 갖는 동일 종교라고 한다해도 틀린 말이 아니라 여겨질 정도였습니다. 언젠가 이에 대한 연구도 있지 않을까 싶더군요. 불교와 그노시즘이라는 주제의 연구 말입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영지에 대한 호기심을 주체 못하고 <<제 2의 성서 아포크리파 -신약시대>>를 읽기도 하였습니다만, 영지주의 텍스트가 더 목마르시다면 그 책(아포크리파) 내의 토마스복음과 기타 문헌란에 수록된 3종류의 영지주의 문헌들도 추천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티벳 밀교 요가 - 위대한 길의 지혜가 담긴 7권의 책
라마 카지 다와삼둡 번역, 에반스 웬츠 편집, 유기천 옮김 / 정신세계사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티베트 밀교요가에 대한 대략적인 개론서라고 편저자는 말하지만 생명열요가를 제외하고는 모두 충분히 수행가능하리라 '짐작'된다.

 

 

<몽환의 요가>에 대해서는 <<잠과 꿈의 요가>>가 세부적인 가르침인 듯 싶다. 그 외에도 속속 티벳밀교요가에서 소개된 공법들이 번역출간되고 있다. <<까땀빠 불교의 핵심적인 수행법>>이란 책도 그 중 하나..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시크릿 트레이닝
한병철.한병기 지음 / 파란(파란미디어)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받자마자 2시간도 채 안되어 숙독했다. 과거 무술기본공을 소개한 서적에서 언급된 내용들이 많이 보였지만, 국내에서 구할수 있는 상세한 외공 수련 소개서로는 유일한 서적이라하겠다. 다만 실제 수련을 하기에는 조금 어려울듯 싶은 기법들이 많이 보였다. 하지만 그건 내용이 미흡하거나 구체적이 아니라서라기 보다는 소개된 수련법들을 익히고자해도 수련 도구들을 구하기가 마땅찮기 때문이다.


소개된 기법들 중 인왕공,석쇄공,유구공 등에 필요한 도구들은 모두 클럽벨, 케틀벨, 볼링공이나 토구핫샷 등으로 대체 가능하다. 다만 다른 공법들에 필요한 도구들은 모두 직접 제작하거나 해외직구를 해야 가능한 것들이다.


 과거 중국 어느문파의 쿵푸를 소개하는 동영상에서 석쇄공을 제외하고는 이름 모를 수련을 하는 영상을 본 적이 있다. 이 책을 읽고서야 그것이 석판공, 철주공, 금사공임을 알았다. 그 영상을 보고 당시엔 이름도 몰랐지만 특히나 석쇄공, 석판공, 철주공에 관심이 갔는데, 이제야 그 단련법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다. 다만 석쇄공은 케틀벨에 대응하면 되겠지만 석판공은 석재 가공하는 곳에 가서 대리석을 깍아달라고 해야되는 건지... (그리고 철주공은 저자는 봉의 굵기가 직경 4~5 cm 의 목봉으로 수련하라고 했지만 내가 본 영상에서는 상당히 굵직한 속이 빈 쇠봉이었다.)


6~7년 전까지는 이 책에서도 소개 된 상관공을 수련하기도 했었다. 당시 대나무를 잘라 가운데 구멍을 뚫어서 굵은 줄을 연결하고 바벨 원판을 달아 수련 했었다. 물론 그 이후 지금까지 모든 수련을 놓고 지내며 당시 만들어 놓았던 상관공 수련기구도 이사하는 중에 대나무가 쪼개져서 수련이 불가한 상황이다.


시크릿트레이닝이라는 이 책에 소개한 많은 수련법 중 나로서는 인왕공과 석쇄공 두가지만 수련할 작정이다. 그건 이 책에 소개된 수련법들이 비실용적이라거나 신뢰가 가지 않아서라기보다는 수련 도구들을 구비하기가 여의치 않아서이다. 또 많은 기법들을 익히기 보다 몇몇 공법들을 체화하며 수련을 생활화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서이다.


☆ 이 책에 소개된 타력공법들 14가지 중에서 번거롭지 않게 도구를 구해 수련 할 수 있는 공법은 6가지 정도이다. 소림72예 또한 이런 공법도 있다는 소개에 그쳤을 뿐 실수행이 가능한 것은 소수이다.(소림72예는 도구의 문제가 아니라 실제 공법 소개에 그쳤을뿐 실수행을 위한 자세한 정보는 미비하다)

다만 진심으로 수련에 목마른 이라면 자신이 메이스벨을 직접 제작해 석추공을 수련하고 석재가공장에 가 대리석을 깍아와 석판공을 수련한다거나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노력이 가능한 분들이라면 수련 가능한 공법들은 14가지 이상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