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원전으로 읽는 움라우트 세계문학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인과 바다 역시 중딩 때 권장도서라서 읽었었다. 하지만 딱히 어떤 감상이었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 그저 막연히 인간의 내면 이야기를 상징하는 것이구나 싶기는 했던 듯하다. 성인이 되어 다시 읽으니 그 깊음에 조금은 젖어든 것도 같다. 

 

이번에 [노인과 바다]를 다시 읽으며 어린시절에는 보이지 않았던 상징들이 보이기 시작했고 어린시절엔 그저 막연하기만 했던 내적 심연으로의 여행 이야기가 조금은 귓가에 다가오는 것만 같았다. 

 

어부이나 80 여일을 물고기를 잡지 못하는 노인에게서 의미와 항로를 잃은 듯한 느낌을 받는 성인으로서의 내가 오버랩 되는 듯했다. 아마도 노인과 같은 심정을 겪어본 많은 성인들이 있을 것이다. '없는 투망'과 '없는 노란 쌀밥', '없는 생선'에 대한 노인과 소년의 '놀이' 같은 대화는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루덴스]와 조지프 캠벨의 [신의 가면]시리즈 1권인 [원시 신화] 속의 개념과 이야기들이 떠올랐다. [노인과 바다]라는 이 이야기가 하나의 의식이자 의례를 상징하고 있다는 것을 이 '놀이'와 같은 대화를 통해 내비치고 있는 것이구나 싶었다. [원시 신화]에서 조지프 캠벨은 인간 사회와 신화 속에서의 '신성한 놀이', 하나의 '의례'는 중세 기사도나 일본의 무사도에서도 엿보이며 현대의 일본인들이 죽음을 대하는 은유적인 대화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당신의 부친께서 돌아가셨다고 들었습니다" 라는 표현을 현대의 일본인들은 "당신의 부친께서 죽음을 연출하셨다고 들었습니다"라고 표현한다고 하니 말이다. 조지프 캠벨은 '정신의 고귀함은 천상에서든 지상에서든 놀이를 할 수 있는 기품이나 능력이다'라고 말하고 있기도 하다. 

 

노인이 투망을 잃은 것을 묘사한 짧은 대목은 투망이 없으니 노인이 사냥을 나가 낚시와 작살만으로 사냥감과의 일대 격전을 벌일 것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물고기를 잡지 못해 소년이 다른 배를 타게되어 홀로 사냥을 나가는 노인의 장면은 진정한 심연의 여행은 홀로 감당해야 하는 것임을 상징한 것이라 보였다. 대어를 만난 노인이 미끼를 문 물고기로 인해 북서쪽으로 하염없이 끌려가는 것에서는 왜 하필 북서로 끌려가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 [햄릿]이 자신은 "북북서로 미쳤다"고 하는 대사가 기억났고 그를 오마쥬한 제목의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라는 영화 제목이 떠올랐다. '왜 하필 북북서인가?' 이런 의문이 들어 구글어스에서 덴마크(햄릿이 덴마크의 왕자이니 덴마크에서 북북서 방향을 찾아보려) 지도를 검색했다. 덴마크의 북북서로는 북해를 거쳐 노르웨이해를 거쳐 그린란드해를 너머 그린란드가 있었다. 셰익스피어는 그 망망한 대양과 미개척의 대륙으로 인간의 심연을 상징하려 한 것으로 짐작된다. 헤밍웨이 역시 북서라는 비슷한 방향을 오마쥬해 노인의 여정이 인간의 심연을 향한 여정이라는 것을 상징했을 것이다.

 

작품 속에서 노인이 '사자의 꿈'을 꾸는 장면이 몇 번이나 등장한다. 조지프 캠벨의 말로는 용은 권위와 도덕성, 윤리, 원칙 등을 상징하지만 '사자는 자기 발견을 상징한다'고 한다. 이것으로도 노인과 바다라는 서사가 자기발견과 내적 통합을 상징한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분석심리학 전반에서는 자기실현의 길을 이원성을 통합하는 여정으로 본다. 노인과 물고기는 의식 속의 이원성을 상징하는 것이 맞을 테고 물고기는 노인 내면의 야성과 함께 인간 본성의 다른 한측을 상징하는 것이리라. 바다... 대양이라는 그 드넓은 심연에서 노인은 점점 침잠해 들어가며 또 다른 자신과 조우하고 결국 그를 통합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물고기가 꼭 그의 그림자만을 상징하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노인이 보이는 그 사냥감에 대한 존경과 사랑 그리고 그를 죽인데 대한 죄의식이 스쳐가는 것으로 보아 물고기는 그의 그림자만이 아닌 아니마까지도 아우르는 그의 대칭적 극성을 상징하는 것이리라. 물고기를 죽인데 대한 죄의식을 보이며 그는 '물고기가 물고기로 존재하는 것처럼 자신도 어부로 존재하는 것이라' 자성한다. 그리고 '그를 사랑하기에 그를 죽인 것은 죄가 아니다'라며 자신의 내적 통합을 긍정하고 있다. 

 

노인이 물고기를 사냥하고 나면 '노예의 일이 남아있다'고 말하는 것은 우리가 우리 심연 속 합일을 이룬 이후에도 우리가 감당해야 하는 여정이 있다는 것을 비치는 말이 아닌가 한다. 물고기를 사냥했으나 그는 다시 한번 상어들의 공격으로 물고기를 잃을 위기에 처한다. 이는 우리의 내면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겪어야 할 시련들을 상징한다고 보인다. 융 저작집 시리즈 중 연금술의 비의를 서술한 대목을 보면 왕과 여왕이 합일하는 과정에서 흑화하는 과정, 우리 내면의 모든 부정성이 모조리 드러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칼 융은 가르침하고 있다. 

 

노인이 겪는 여정과 '시련'은 통합의 여정이며 (조지프 캠벨의 표현을 빌리자면) '새로운 영적 상태로 변형되기 위한 과정'인 것이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노예처럼 일할 수도 있고 상어 떼의 공격을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바다 위에서의 고독한 그의 사투는 하나의 '종교의식'이자 성인으로서 다시 한번 겪는 '또한번의 성인식'이 아닌가 싶다. 노인과 물고기는 헤밍웨이의 표현처럼 '함께 묶여 항해하여' 끝내는 노인의 보금자리로 가닿는다. 그리고 그 험하고 깊은 여정 이후 그에게 기다리는 것은 별다를 것 없으면서도 다를 일상적이면서 비일상일 그의 일상이다. 우리는 우리의 통합을 이룬 이후에도 결국에는 우리의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혁신이나 변혁이 있더라도 그것은 우리 자신에게 하루가 같은 하루가 아니게 여겨지는 그런 색다름이지 돌아와 맞이 하는 것은 다시 일상일 것이기 때문이다. [오즈의 마법사]에서 도로시에게 다시 돌아온 캔자스가 도로시가 받아들이기에 결코 이전의 캔자스는 아니겠지만 또한 일상이라는 면으로 보자면 같은 캔자스일 것이듯 말이다. 

 

신화 속 젊은 영웅에게 연륜있는 노현자가 가르침을 주는 것과는 대칭으로, [노인과 바다] 속 노인에게 소년은 그에게 결여된 젊음이라는 가치와 보살핌, 협조, 위안 등을 상징한 것이리라. 그리고 먼 미래에는 노인이 항해한 그 심연의 사투를 그 젊은 소년 역시 이겨내야 할 것이다. 우리 모두가 노인이고 우리 모두가 소년이 아닌가 싶다. 이 세상이라는 바다 가운데에서는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2-04-12 23:0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노인과 바다 좋아하는데 ‘북서‘의 의미가 그런거였군요 ㅋ 사자와 물고기의 상징도 그렇고 전 잘 몰랐던 사실인데 신기하네요~! 역시 책은 아는만큼 더 깊게 다가오는거 같아요 ^^

이하라 2022-04-12 23:14   좋아요 1 | URL
융 님의 저작 몇권과 조지프 캠벨 님의 신의 가면 시리즈를 인상 깊게 읽었었기에 그저 대입만 해봤습니다.^^; 분석심리학을 아시는 분들께는 시시한 리뷰일텐데 칭찬해 주셔서 부끄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