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비발~* > 보름달의 전설

 
미하엘 엔데의 글과 비네테 슈뢰더의 그림? 정말 환상적인 만남이겠군. 이 책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절로 그런 생각이 들었다. <끝없는 이야기>와 <모모>에서 펼쳐주는 엔데의 기막힌 상상의 세계와 <개구리 왕자>에서 보여주는 슈뢰더의 몽환적이고 초현실주의적인 그림 해석을 떠올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기대는 어긋나지 않았다. 아니, 그 이상이었다.

아직 세상에 천사와 악마가 있다고 믿던 때, 애인의 배신과 아버지의 파산으로 세상에 회의를 품게 된 젊은이가 세상을 등진 채 성스런 책들을 공부하며 진리를 찾는 데 열중한다. 하지만 이 모든 말이 지푸라기처럼 덧없는 것이라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말을 읽게 되자,  젊은이는 그 자리에서 모든 것을 버리고 떠난다. 그리고 어느 외딴 골짜기에 들어가 영원을 구하는데 전념한다. 그러던 어느 날 성자가 있는 골짜기에 한 사나운 사내가 들어오게 된다. 똑같이 세상으로부터 배신을 당했으나 두 사람이 걸어온 길은 사뭇 달랐다. 그 사내는 도둑이었다. 성자는 도둑을 제자로 삼는다.


여기서 전설이라 옮긴 ‘Legend’는 본디 성자들의 전설을 말한다. 진리가 무엇인지 깨달으며 영원을 구하는, 성스런 사람들의 이야기인 것이다. 그러나 엔데의 이야기는 그런 일반적인 성자 전설과는 다르다. 오랫동안 진리와 영원을 추구하던 성자는 악마에게 현혹당하고, 진리를 알기는커녕 자신의 죄를 회개할 수 없어 성자를 안타깝게 하던 살인자 도둑이 그를 구한다. 성자가 온 평생을 바쳐 구했던 진리는 무엇이고, 그의 정신이 향하던 성스런 세계는 또 무엇인가? 진정한 진리는 어디 있으며, 진정한 깨달음은 어디 있는가? 결코 쉽지 않은 질문을 이 짧은 이야기는 던지고 있다.


담고 있는 질문만큼이나 책 크기도 크다. 첫 장을 넘기면 두 사람이 바다 건너 보름달을 바라보고 있는 그림이 한쪽 면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달은 하나가 아니다. 희미하게 빛나는 또 하나의 달은 착각인가, 현실인가? 그리고 또 한 장을 넘기면 젊은이가 도망치는 연인의 뒷모습을 보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의 분노와 서글픔을 녹여내는 듯 붉은 색조를 띈다. 그러나 그가 서재를 떠나는 장면은 그의 깨달음을 알리듯 푸르른 달빛이 어두운 방 속으로 쏟아져 들어온다. 은자가 도달한 마음의 평화는 한껏 부드러운 녹색으로 알려지지만, 도둑이 여자를 희롱하는 장면은 붉은 빛이 강렬하다. 도둑과 은자의 만남은 양면 가득 신비로운 은빛으로 표현되고, 악마는 초록과 빨강의 강렬한 대비로 자신의 존재를 보여주며, 동굴 주위의 불길한 기운은 독수리에 잡힌 토끼의 모습으로 클로즈업된다. 대천사가 나타나는 장면은 몽환적인 푸른색이 화면을 메우고, 그의 본모습인 오소리는 피처럼 붉은 빛을 피워 올린다. 세부 묘사는 사실적이나 색과 분위기는 그야말로 환상적이다.

글과 그림이 어우러져 하나의 전체를 이루는 것이 그림책이라면, 이 책은 그림책이다. 그러나 그림책이 아이들이나 읽는 책으로 생각한다면, 이 책은 그림책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