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 (음력 1월 15일)
유래
농사를 주업으로 살아온 우리 나라에서는 달의 역할이 중요했대요. 그래서 새해 들어 맨 처음 보름달이 뜨는 정월 보름을 '대보름'이라 하여 더욱 소중히 여겼다지요. 이 날 뜨는 보름달을 보고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고 해서 너나 할 것없이 소망을 기원합니다.
풍습
정월 대보름은 재미있는 풍습이 많지요. 이 날 아침엔 '부럼 까기'를 합니다. 호두나 잣, 땅콩 등을 깨어 먹는 것이죠. 이들 음식에는 피부병에 좋은 영양분이 많이 들어있어 부스럼을 막기 위해 미리 먹는 거랍니다. 부럼 까는 소리가 요란해서 잡귀들이 도망간다나요. 보름날 아침엔 귀밝이술이라고 해서 아침에 데우지 않은 술 한잔 씩 마신대요. 그러면 귀가 밝아지고 일년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구요.
'더위 팔기'란 것도 있어요. 아침 일찍 일어나 해 뜨기 전에 "○○야" 하고 친구를 불러요. 친구가 "응?" 하고 답하면 그 친구가 내 더위까지 사게 되는 거죠.
놀이
정월대보름에는 연날리기, 지신밟기, 쥐불놀이, 다리밟기 등이 있습니다.
지신밟기는 원래 섣달 그믐날 궁중에서 한 해 동안의 복을 빌고 잡귀를 쫓아내는 새해 행사였습니다. 정월 대보름에 농악대가 집을 돌며 땅의 신령인 지신을 달래고 복을 비는 놀이죠. 다리밟기는 큰 다리 위를 자기 나이 수만큼 건너면 일년동안 다리에 병이 안 나고 건강해진다고 믿은 데서 나온 놀이에요.
쥐불놀이는 달집에 불을 붙여 논둑과 밭둑에 불을 놓는 것이죠. 쥐불놀이를 하면 일년동안 병이 없고 나쁜 일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지요. 모두 밤에 달이 뜨면 한 놀이래요.
음식
이 날은 오곡밥과 나물을 먹는 날이랍니다. 오곡밥은 찹쌀, 좁쌀, 차조, 콩, 찰수수 등 다섯가지의 곡식을 섞어 지은 밥이지요. 여기에 호박, 가지, 시래기 등 묵은 나물을 삶아서 기름에 볶아 먹습니다. 묵은 나물을 먹으면 일년 동안 더위를 먹지 않는답니다.
멍멍인 억울해!
다들 즐겁게 먹고 노는 대보름이지만 이 짐승만큼은 우울하답니다. 바로 개죠.
이 날은 개에겐 밥 한 끼도 주지 않고 굶겼답니다. 둥근 달이 점점 줄어 초승달이 되는 건 개가 달을 먹었기 때문이라고 믿어서죠. 그래서 대보름날엔 개를 굶겼다나요. 개 팔자, 정말 불쌍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