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水巖 > 연령에 맞는 교육법 - 4세

 


 

상상력이 풍부해지고 농담을 좋아합니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상상력이 풍부해지고 잡담이나 농담을 좋아합니다. 4세가 되면 아동들은 또래와 상호 협동적인 놀이를 하고, 집단 게임을 하는 등 매우 사회적이 됩니다.

3 이상의 수도 셀 수 있게 됩니다.
도형의 모양을 구별하고, 삶과 죽음에 대한 오묘한 질문을 하기도 합니다. ‘내 것이 더 크다’하고 동생의 것과 자신의 것을 비교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아동의 변화는 수리탐구 능력의 발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사람의 얼굴을 그릴 수 있게 됩니다.
아동은 이제 동그라미, 선 등을 그리는 것에서 벗어나 사람의 얼굴을 그릴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엄마 옆에서 졸졸 쫓아다니기만 하던 아동도 틈만 나면 밖으로 나가 뛰어 놀곤 합니다.
아이가 흘리지 않고 음식을 먹을 수 있어요.
아이는 이제 좀 더 섬세하게 손을 놀릴 수 있습니다. 놀이를 하면서도 장난감을 어디에 위치시킬 지에 신경을 쓰고 여러 가지 손 모양으로 장난감을 쥘 수 있습니다. 점점 블록을 가지고 구성물을 만들어 내는 것을 잘 할 수 있게 되고 즐기게 됩니다. 또한 아이가 음식을 먹을 때 많이 흘리지 않고 먹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성에 대해서 서서히 알게 됩니다.
소꿉장난을 할때면 자연스럽게 남자아이는 아빠 역할을, 여자아이는 엄마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는 아이가 자신의 성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며 성역할의 차이는 구별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남자아이는 자신의 아버지, 나이 많은 형, 다른 동성의 친구들을 좋아하며, 여자아이는 엄마, 나이 많은 언니들을 따라 다니기 시작합니다.
친구를 조금씩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다른 사람의 감정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되고 다른 사람의 의견에도 조금씩 귀를 기울이게 됩니다. 아이는 이제 친구를 때리면 자신이 친구에게 맞았을 때처럼 아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또 엄마 입장이나 친구 입장이 되어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친구들과 보다 사이 좋게 지낼 수 있게 되고 다른 사람을 도와 줄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아직 완전하게 타인의 감정이나 생각을 고려할 수는 없기 때문에 엄마 아빠가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쉬운 질문을 던져 말하는 연습을 시켜 주세요.
아이가 새로운 사물을 접하거나 경험을 할 때 그것을 지칭하는 단어와 문장을 말해 주면 아이는 금새 배울 것입니다. 아이에게 쉽게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던져서 언어를 이해하고 말하는 연습을 시켜 주세요. 추상적이고 광범위한 질문보다는 구체적이고 대답이 정해져 있는 질문이 좋습니다.
아이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세요.
아이는 새로운 단어를 배우고 이를 말해 보는 것이 매우 즐겁기 때문에 쉴 사이 없이 이야기합니다. 귀찮더라도 아이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시고 반응을 해주세요. 아이가 하는 말을 잘 관찰하고 아이의 조금 더 복잡하고 색다른 표현으로 다시 말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지나가는 차를 "큰 차" 라고 이야기한다면 "그래. 저기 크고 하얀 차가 있네. " 라고 아이의 말에 단어를 덧붙여 다시 말해 주세요.
줄거리가 단순하고 대화체로 된 책을 보여주세요.
책의 내용은 자신과 비슷한 나이의 아이, 주변의 친숙한 사물, 사건, 또는 동물을 다룬 책이 좋습니다. 아이는 동화책을 통해 상상 속으로 빠지는 것을 즐거워하며 좋아하는 동화책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아이가 원한다면 같은 책이라도 여러 번 읽어 주세요. 아이는 충분히 즐거워합니다.
아이의 질문에 짧고 정확하게 답해주세요.
아이는 하루종일 주변에서 일어나는 많은 일들에 대해 질문을 합니다. 아이의 질문에 대해 짧고, 아이가 이해하기 쉽도록 아이의 눈높이에서 답해주세요. 엄마 아빠의 간단한 대답에 아이는 금새 궁금증이 해소되어 다른 무언가에 몰입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나 답이 없는 질문은 아이와 함께 책을 찾아보세요. 아이의 질문에 대해 모른다고 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라고 하지 마세요. 아이의 질문이 귀찮아서 쉽게 대답하기보다는 아이와 함께 책을 찾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에게 시간을 주세요.
아이는 길을 다니다가 우연히 발견한 풀, 곤충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습니다. 흔한 개미조차도 아이에게는 신기해서 졸졸 개미를 졸졸 쫓아다니기도 합니다. 아이가 무언가를 탐색하고 배우며 "왜 그럴까?" "우와 신기하다. 이건 뭘까?" 하고 스스로 생각해 볼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세요. 이렇게 생각해 보는 기회는 아이에게 즐겁고도 소중한 것입니다. 또 아이에게 정해진 답을 말하도록 요구하기보다는 아이에게 직접 사물을 이용하여 탐구해 보고 창의적으로 사고 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기회를 제공해 주세요.
친구와 싸웠을 때, 아이와 이야기 해보세요
아이가 친구를 때렸다면 그것이 나쁜 것임을 반드시 말해 주어야 합니다. 일단 아이를 진정시키고 친구로부터 멀리 떼어놓은 뒤 이야기를 해 보세요. 다른 아이에게 신체적으로 공격을 하는 것은 감정을 표현하는 좋은 방법이 아님을 정확하게 알려주세요. 때리는 것이 좋지 않은 방법이라는 걸 분명히 알게 되면 아이는 뭔가 다른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아이는 칭찬에 약해요.
아이는 점점 스스로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아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엄마 아빠가 중요합니다. 엄마 아빠를 보면 뛰어가서 안기며 엄마 아빠의 말 한마디가 아이에게 여전히 중요합니다. 아이는 칭찬 받는 것을 매우 좋아합니다. 아이의 인지 발달 수준도 높아져 이제 엄마 아빠의 말을 잘 알아들을 수 있으며, 엄마 아빠를 기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압니다. 따라서 이 시기는 좋은 습관과 버릇을 들일 수 있는 좋은 시기입니다. 칭찬은 엄마 아빠가 아이에게 쓸 수 있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아이는 능동적으로 생각할 기회를 주세요.
먹을 음식이나, 옷, 엄마와 같이 할 게임 고르기 등 아이의 안전과 무관한 범위 내에서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세요. 엄마 아빠가 쉬운 말로 아이에게 물어봐 준다면 아이는 자신의 생각을 말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는 자신의 존중받는 느낌을 받을 수 있고, 보다 능동적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게 됩니다. 능동적으로 생각해 볼 기회가 많으면 많을수록 아이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아이로 자라게 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